전국 종교시설과 의료시설의 절반 가량이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영배 의원(서울 성북갑)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9년 소방특별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종교시설 점검결과 3121곳 중 1658곳, 의료시설은 2133곳 중 1058곳이 ‘불량’ 통보를 받았다.
종교시설과 의료시설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특정소방대상물’로 지정됐다. 소방시설 설치와 피난시설ㆍ방화시설의 유지, 관리 등이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또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밀집하고 체류 시간도 길어 화재 발생 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전국 시ㆍ도 소방본부에서 2019년 한 해 동안 진행한 소방특별조사 결과 종교시설의 51%에 해당하는 911곳이 행정명령, 20곳이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의료시설은 49%에 해당하는 463곳이 행정명령, 3곳이 입건, 10곳이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종교ㆍ의료시설 외에도 조사대상 특정소방대상물 34만8천동 중 18만여 동이 양호, 16만7천여 동이 불량으로 드러났다.
김영배 의원은 “소방특별조사 결과 아직도 많은 시설물이 화재에 취약해 국민안전이 위협받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화재 발생 자체를 막는 게 가장 중요한 만큼 소방대상물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안전관리자 실무교육 11월부터 온라인으로 진행코로나19 감염 여파로 전환… 온라인교육 이수 않을 시 100만원 이하 과태료 (0) | 2020.09.28 |
---|---|
소방안전교육사 응시자격 확대‘소방기본법 시행령ㆍ시행규칙’ 개정령안 입법 예고 (0) | 2020.09.28 |
‘전통시장 화재알림설비 설치사업’ 가이드라인 고친다이달 중 관계부처ㆍ전문가 등 참여하는 회의 열기로 (0) | 2020.09.28 |
이천 화재 재연되는 일 없도록 확실히 변해야 (0) | 2020.09.28 |
신뢰성 흔들리는 아파트 대피시설 인정 제도… 왜? (0) | 2020.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