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으로 소방시설을 모니터링하는 관리시스템 표준이 마련된다. 이는 소방시설 점검의 한계로 여겨졌던 인력과 시간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IoT 기반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시스템’에 대한 표준화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서울소방본부,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와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그동안에는 소방시설 제조사의 제품군별 규격이 상이해 통일된 소방시설 상태 수집항목 설정과 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업체에서 개발 및 서비스하는 소방관리 시스템과 서비스의 연동을 위해 표준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소방시설 관리시스템에서 자체 식별자를 사용하는 제조사의 소방설비는 구분하기 어려워 표준화된 식별체계가 필요하다. 이번 표준은 식별자를 단순번호가 아니라 소방시설의 위치, 종류, 연동 방법 등을 포함하도록 정의해 관리자가 쉽게 인식하도록 했다. IoT 소방시설뿐 아니라 기존 소방시설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식별체계도 담고 있다.
표준을 통해 소방시설에 대한 다양한 작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소방시설 등에 대한 신뢰성 있는 비교 분석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소방시설의 실시간 원격 점검이 가능해져 소방시설 관리 개선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안전저널(http://www.anjunj.com)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 주목받은 2022 FIRE TECH KOREA 소방 기술들 (0) | 2022.06.27 |
---|---|
2022 신규 소방공무원 체력시험 합격자 발표… 5012명 합격 (0) | 2022.06.22 |
수난구조 훈련 (0) | 2022.06.20 |
소방내전- Ⅳ (0) | 2022.06.20 |
내진제품의 사용승인 절차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