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연구실 안전’
KAIST서 화학물질 누출 의심 신고
연구실안전에 대한 의문·우려 커져
시설아닌 연구자에 초점 맞춰야
<속보>=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KAIST 내에서 화학물질이 누출됐다는 신고가 접수되면서 연구실 내 안전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소방당국의 조사 결과, 다행히 일부 실험실에서 인체에 무해한 물질이 누출된 것으로 파악돼 이번엔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매년 끊이질 않고 있는 연구실 안전사고에 대한 걱정은 지울 수 없는 상황이다. <본보 2019년 11월 6일자 7면 등 보도>
6일 KAIST와 유성소방서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경 소방당국에 KAIST 내 한 건물에서 ‘화학물질 냄새’가 난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유성소방서 관계자는 “화학물질 냄새의 발원지는 KAIST 한 건물 내 합성반응실이다. 실험 중 비스설파이드라는 물질을 사용했지만 일종의 통풍실과 같은 후드가 작동이 잘 안 돼 소량의 비스설파이드 물질이 유출되면서 냄새가 퍼졌다”며 “독성이 없는 물질인 비스설파이드 냄새를 아황산가스로 오인해 신고가 접수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화학물질 냄새 소동은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연구실 사고에 대한 공포는 줄지 않고 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KAIST 연구실 내에서 화학물질 등이 누출되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일어났기 때문이다. 2017년 7월엔 기계공학동 한 연구실에서 ‘실험 후 가스가 누출된 것 같다’는 학생 신고가 접수됐다. 출동한 안전요원이 확인한 결과 실험실에서 ‘수산화 테트라메틸 암모늄(TMAH)’ 약 600㎖가 누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이듬해 10월엔 신소재공학과 실험실에서 염소가스가 누출됐다. 지금으로부터 불과 3개월 전인 지난해 11월에도 응용공학동 실험실에서 염소가스가 누출되면서 당시 실험실에 있던 학교 관계자 수 명이 건물 밖으로 대피하는 등 소동이 빚어지기도 했다.
학교 측은 지속적인 교육과 캠페인 등을 통해 연구실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KAIST 관계자는 “대학 내에선 실험실 안전 교육이 주기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학원생은 안전 교육을 이수해야만 졸업이 가능할 정도”라며 “2000년대 들어 연구실 사고가 많이 발생하다보니 1년에 한 번씩 실험실 안전 주간 캠페인을 따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화학물질 등을 다루는 연구실에선 한 번 사고가 발생하면 폭발 등 자칫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연구실 안전 관련 현행법은 ‘사람’이 아닌 ‘자원’ 중심으로 돼 있는 등의 허점이 존재한다.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비례대표)은 “현행 연구실 안전법은 법의 목적부터 ‘연구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과학기술 연구개발 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명시돼 연구자를 연구실에 포함된 효율적 관리의 대상으로 여긴다”며 “연구자가 아닌 연구자원을 골자로 한 법률 부분을 ‘연구 인력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한 연구환경을 조성해 과학기술 연구활동 활성화에 기여해야한다’ 등의 내용으로 개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연구실 안전환경개선 지원사업(이하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 (0) | 2020.06.06 |
---|---|
코로나19 검사 기술 개발… 4시간 만에 결과 확인 (0) | 2020.03.13 |
경기도교육청 '2020 학교안전관리 종합계획' 발표 (0) | 2020.01.07 |
교육시설재난공제회 '연구실 안전 교육', ‘연구실안전공제’ 운영 (0) | 2019.10.02 |
'식약처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규정' 제정고시 (0) | 2019.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