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소방학교에는 외교통상부 산하 국제협력단(Koica) 무상원조사업의 일환으로 2005년부터 국제교육 ‘긴급구조ㆍ대응과정’을 운영하면서 개발도상국들의 재난대응관련부처 중간관리자들이 다녀갔다.
이 국제교육은 한국의 구조ㆍ구급 제도 및 기초 구조ㆍ구급상식에 대한 지식 습득과 다양한 구조현장에서의 인명구조 기술, 발전된 재난ㆍ안전관리 시스템, 한국과 수원국간 고유문화 공유와 우호 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5년 이라크 1개국 20명의 재난관리 과정 교육을 시작으로 ▲2006년에는 구조대장과정 미얀마,몽골,탄자니아 3명 ▲2007년 국제재난관리 구조과정 쓰리랑카, 아프카니스탄, 인도네시아 파키스탕 등 10개국 10명 ▲2007년 소방방재시스템 현대화 산업과정 파라과이 1개국 15명 ▲2008년 자연재해대응과정 필리핀, 카자흐스탄, 페루, 나이지리아 등 8개국 12명 ▲2009년 자연재해대응과정 니카라과, 도미니카공화국, 마다가스카르, 미얀마 등 12개국 17명 ▲2011년 네팔, 몽골, 베트남, 부탄, 캄보디아 등 9개국 16명으로 현재까지 총 93명의 외국인들이 한국의 재난관리과정 및 소방방재시스템에 대해 교육 받았다.
이론강의, 실습수업, 현장견학, 산업시찰, 문화체험 등으로 이뤄진 교육들은 한국의 재난관리체제를 비롯해 첨단산업, 전통문화체험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운영되어 왔다.
국제교육과정을 총괄하는 중앙소방학교 교육기획과에서는 앞으로도 발전된 재난 관리 및 긴급대응 시스템에 관한 정보ㆍ경험을 개도국들과 공유함으로서 경제발전과 안전하고 행복한 나라 건설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우리나라와 수원국인 나이지리아,니카라과, 케냐, 수단 등 12개국간 우호관계 증진시키며 국내 우수소방업체 방문 및 견학으로 소방방재산업의 장기적인 수출 증진과 ‘Safe Korea’의 위상을 널리 알릴 계획이다.
피부색은 달라도 목적은 하나!
[인터뷰]중앙소방학교 조태현 소방위
|
그는 올해로 7번째 국제교육과정을 준비하면서 만2년 4개월이라는 짧은 경험으로 외국인 대상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조태현 소방위는 “다양한 강의와 많은 현장학습을 실시함에 있어 많은 분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며 “부족하지만 이를 통해 교육생들에게 국내 긴급구조ㆍ대응시스템에 관한 전반적인 소개라는 소기의 목적은 달성했다”고 말했다.
그는 9개국에서 온 소방 및 재난관리 관련 공무원 16명을 인솔하고 12일간의 일정동안 동고동락하며 그들의 손과 발이 되어 동방예의지국이라는 한국의 이미지를 각인시켜주기도 했다.
조 소방위는 “특히 네팔, 나이지리아, 인도네시아의 교육생은 종교적 이유로 돼지고기와 소고기를 먹지 않아 식사때마다 메뉴선정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고 에피소드를 말했다.
그는 또 “적극적이고 활발한 성격을 바탕으로 이번 교육과정에서 학생장을 맡은 나이지리아의 이드리스라는 교육생이 가장 기억이 남는다”며 “교육기간 내내 교육생들간 좋은 분위기를 이끌었지만 서울로 현장견학을 간날 두통과 몸살을 호소하며 본인이 말라리아에 걸렸다고 강력하게 주장해 3곳의 병원을 거치며 정밀검사를 했지만 결과는 음성판정이 나와 허탈했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웃지못할 사연도 전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재난 발생의 규모가 커지고 그 빈도도 잦아짐에 따라 그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도 세계 각국의 협력ㆍ공조가 중요해지고 있다.
조태현 소방위는 “이처럼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외국의 재난대응부처와 우리 소방방재청 간의 협력ㆍ공조에 이바지하고 싶다”며 “추후 기회가 된다면 한국 뿐만이 아닌 세계인의 안전확립을 위해 일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중앙소방학교는 내년에도 개발도상국과 재난대응관련부처 중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긴급구조ㆍ대응과정을 개설할 예정이며 교수진을 소방방재청 내부전문가에 국한하지 않고 외부 우수한 전문가들도 참여시켜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조 소방위는 “이와함께 교육생들이 개발도상국의 중간이상 관리자급인 것을 감안해 교육과정에 국내 우수소방업체 방문이나 소방엑스포 참관 등을 포함시켜 장기적으로 국내 소방방재산업의 수출 증진에도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최고 기자 Go@fpn119.co.kr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무소화설비 등 화재안전기준 4건 제ㆍ개정 (0) | 2011.07.11 |
---|---|
소방관련 3가지 법률안 개정 (0) | 2011.07.11 |
야외 옥내소화전 방수구 설치 면제 (0) | 2011.07.11 |
용접ㆍ용단작업장 내 소화기 비치 의무화 (0) | 2011.07.11 |
이제는 건축물 피트공간도 소화설비 설치해야 (0) | 201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