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건설안전 현 주소
1 사고현황
□ 우리나라 산재 사망만인율*은 OECD 주요국가 중 세 번째로 높고,
건설업 사망만인율**은 영국·싱가폴 등 선진국의 5~10배 수준
* 사망만인율(‱) = 상시 근로자 만 명당 사고사망자 수
** '15년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 : 한국 1.65, 영국 0.16, 싱가폴 0.31
ㅇ 전체 산업재해 대비 건설업 사망만인율은 3배 이상 높은 수준
으로, 他산업 대비 사고위험이 매우 높은 산업
【 OECD 주요국가 산재 사망만인율('15) 】【 국내 사망만인율(전체산업, 건설업) 】
□ '19년 사고사망자는 전년 대비 11.8%(57명, 485 → 428) 감소하는 등
‘17년 이후 건설현장 사망사고가 2년 연속 감소하였으나,
ㅇ 산재 사망자 중 절반(428/855명, 50.1%)이 여전히 건설현장에서 발생
'건축방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이천 화재 재발 막는다” 범정부 합동 대책 발표 (0) | 2020.06.25 |
---|---|
화재 골든타임’ IoT가 책임진다 (0) | 2020.05.31 |
이윤 좇는 건설 행태 화재 참사 부른다... 소방 곳곳에 산적 (0) | 2020.05.09 |
50억 미만 건설현장, 안전시설 설치 비용 지원사업장 당 최대 2,000만원, 동일 사업주 연간 3개소까지 (0) | 2020.05.03 |
초고층 건물의 빛과 그림자 (0) | 202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