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주관하는 국책연구기관, 안전진단 적발사항 210건(최근 5년간)
입력시간 | 2017.10.03 10:33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인공 태양으로도 불리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국책연구기관인 국가핵융합연구소 연구실험실에 대한 안전불감증이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2010년과 2013년 4월, 8월 세 차례 안전사고가 발생한 이후 안전진단 결과 지속적으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송희경 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이 국가핵융합연구소로부터 제출받은 ‘안전진단 실시결과 적발사항’을 분석한 결과, 2012년 88건, 2013년 27건, 2014년 26건, 2015년 37건, 2016년 32건으로 최근 5년간 총 210건이 적발된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광역시 도심인근에 있는 국가핵융합연구소는 핵융합에너지, 핵융합장치(KSTAR),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플라즈마 핵심기술을 연구 하는 곳으로 완전무결하게 운영되어야 함에도 폭발화재, 전기누전, 감전사고 등 안전사고가 발생했다는 것은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안전진단 결과 주요 적발사항을 살펴본 결과 ▲폭발위험 사항 중 가스용기의 연결부를 전용밴드로 고정 하지 않았거나 ▲실험실 내 인화성 물질 등을 해당 캐비넷에 보관하지 않은 점은 매년 지적되는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았다. 특히 ▲위급상황 발생 시에 필요한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대피로인 안전통로가 확보되지 않은 점도 매년 적발됐다.
또한 ▲유해물질 관리 미흡 ▲용접기 방호덮개 미설치 ▲가연성 가스 옥외 보관 필요 ▲소화기 비치상태 미흡 ▲작업발판 추락방지 조치 미흡 ▲고압가스용기 전도장방지 조치 미흡 ▲LN2 가스용기 안전조치 미흡 등 안전사고와 직결된 사항들도 상당했다.
지난해 적발된 내용만 봐도 전기배선 덮개 미설치, 본딩 접지 필요, 접지극 있는 콘센트로 교체 필요, 화재감지기 이동설치 및 추가설치 필요, 휠밸브 개폐표지 미부착, 인화성물질은 인화성 캐비넷에 보관, 방호덮개 미설치, 배관 밑단 마감조치 미흡, 실험실내 안전 통로 확보, 가스용기 연결부 호스밴드 고정 미흡, 피난유도등 미설치, 전기 분전반앞 정리정돈 미실시, 유해물질 관리 미흡 등 총 32건이었다.
올해는 12월에 안전진단을 실시할 예정이다.
송희경 의원은 “도심인근에 위치해 있는 핵융합연구시설에서 폭발·화재사고가 발생하면 수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는 물론 국가 중요한 핵심 기술 소실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수십 개의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는 연구소가 매년 반복해서 같은 문제를 지적받고 있는데 이는 직무유기와 업무태만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속한 시일 내에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적발사항 개선을 비롯하여 종합안전대책 수립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총46개의 연구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계·물리 연구실 26개, 전기·전자 연구실 9개, 화학·화공 연구실 6개, 의학·생물 연구실 2개, 건축·환경 연구실, 에너지·자원 연구실이 각 1개씩 운영하고 있다. XML:Y
2010년과 2013년 4월, 8월 세 차례 안전사고가 발생한 이후 안전진단 결과 지속적으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송희경 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이 국가핵융합연구소로부터 제출받은 ‘안전진단 실시결과 적발사항’을 분석한 결과, 2012년 88건, 2013년 27건, 2014년 26건, 2015년 37건, 2016년 32건으로 최근 5년간 총 210건이 적발된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광역시 도심인근에 있는 국가핵융합연구소는 핵융합에너지, 핵융합장치(KSTAR),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플라즈마 핵심기술을 연구 하는 곳으로 완전무결하게 운영되어야 함에도 폭발화재, 전기누전, 감전사고 등 안전사고가 발생했다는 것은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
|
지난해 적발된 내용만 봐도 전기배선 덮개 미설치, 본딩 접지 필요, 접지극 있는 콘센트로 교체 필요, 화재감지기 이동설치 및 추가설치 필요, 휠밸브 개폐표지 미부착, 인화성물질은 인화성 캐비넷에 보관, 방호덮개 미설치, 배관 밑단 마감조치 미흡, 실험실내 안전 통로 확보, 가스용기 연결부 호스밴드 고정 미흡, 피난유도등 미설치, 전기 분전반앞 정리정돈 미실시, 유해물질 관리 미흡 등 총 32건이었다.
올해는 12월에 안전진단을 실시할 예정이다.
송희경 의원은 “도심인근에 위치해 있는 핵융합연구시설에서 폭발·화재사고가 발생하면 수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는 물론 국가 중요한 핵심 기술 소실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수십 개의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는 연구소가 매년 반복해서 같은 문제를 지적받고 있는데 이는 직무유기와 업무태만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속한 시일 내에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적발사항 개선을 비롯하여 종합안전대책 수립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총46개의 연구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계·물리 연구실 26개, 전기·전자 연구실 9개, 화학·화공 연구실 6개, 의학·생물 연구실 2개, 건축·환경 연구실, 에너지·자원 연구실이 각 1개씩 운영하고 있다. XML:Y
'연구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실 내 사고 막아라" 팔 걷어붙인 서울대 (0) | 2017.10.20 |
---|---|
학생부 종합전형, 대학 시설 안전 개선 필요성 지적 (0) | 2017.10.16 |
연구실 안전사고 매년 증가, 정부 점검률은 8%대 그쳐 (0) | 2017.10.02 |
충남대 Engineering Fair’ 개최지역 중고생 초청해 학습 성과 공유, 취업활동 지원 등 다채롭게 진행 (0) | 2017.09.26 |
안전문제의 새로운 트렌드(trend-setters) - 인화성물질의 안전한 보관 (0) | 2017.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