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스프링클러설비

Dr.risk 2010. 5. 17. 18:50
  제1절 스프링클러설비
  가. 개 요
스프링클러설비는 1723년 영국의 화학자인 A. Godfrey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이 설비는 단순히 물통과 도화선으로 구성되어 화재시 화염이 도화선에 점화, 화약이 폭발하여 물통의 물이 방출되는 간이설비였다. 그후 1874년 미국에서 오늘날과 같은 자동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스프링클러설비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방식과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방식으로 대별되는데 폐쇄형방식은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등이 있으며 개방형방식은 대량의 물을 일시에 살수하여야 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설비로서 일제살수식(Deluge system)이라고 한다.

나. 구조원리
1) 습식 스프링클러설비(Wet Pipe System)
가압송수장치는 자동기동방식(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옥내소화전설비의 가압송수장치와 동일하며 작동원리는 말단의 폐쇄형헤드까지 전 배관에 압력수를 가압시켜 놓고 화재가 발생되면 폐쇄형헤드의 감열부분이 열에 의해 녹아 떨어지면서 헤드를 개방시켜 화재부위에 방수되고, 배관내 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유수검지장치(경보체크밸브, 자동경보밸브)가 작동되면서 경보를 발령하고 수신반에 화재표시등이 점등된다.
완전소화 후에는 유수검지장치의 1차측 주밸브를 폐쇄시켜 수류를 차단하고 수신반을 복구한 후 개방된 헤드를 다시 폐쇄형헤드로 교체시켜야 한다.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압송수장치는 옥내소화전설비의 가압송수장치를 참고하고 본 장에서는 유수검지장치 이후의 구성부분을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1) 유수검지장치
유수검지장치로는 자동경보밸브, 패들형 유수검지기, 유수작동밸브, 오리피스형 유수검지기 등이 있으나 알람밸브(Alarm Valve)라 불리우는 자동경보밸브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가) 자동경보밸브(경보체크밸브)

 


  유수검지장치는 하나의 방호구역마다 설치되는데 유수검지장치의 1차측에는 바로 가압송수장치가 연결되어 가압수를 계속 공급하고 있는 상태로 그림상의 압력계는 알람밸브를 중심으로 1차측(가압송수장치측)과 2차측(헤드측)에 각 1개씩 부착되어 항상 같은 압력치를 지시하고 있다가 헤드가 개방되면 2차측의 압력이 감소되면서 알람밸브가 개방되어 수신반에 화재표시등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경보를 발령하게 된다. 자동경보밸브(경보체크밸브)의 구조 및 동작은 (그림 67)과 같다. 평상시에는 작동전의 그림과 같이 클래퍼가 닫혀져 있으며 펌프측과 헤드측의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① 리타딩 챔버
알람밸브에 연결된 리타딩챔버는 알람밸브의 클래퍼가 조금만 열려도 압력수가 흘러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그림 68)의 오리피스(Orifice)에서 소량의 물은 자동적으로 배수되며, 일시에 많은 물이 유입되어 용량전체가 포화되게 되면 상단부의 압력스위치나 워터 모터공으로 압력수가 전달된다. 리타딩챔버는 이러한 동작과정 중간에 설치되어 작동을 지연하게된다. 리타딩챔버의 용량은 약 1ℓ정도로 쓰이나 제품의 제작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알람밸브의 2차측의 압력이 감소되어 1차측 압력에 의해 클래퍼가 열려서 그림의 작동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유입구의 배관을 따라서 리타딩 챔버로 압력수가 흘러들어가게 된다.
리타딩챔버의 기능은 누수로 인한 유수검지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지속적이 아닌 순간적 압력을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압력스위치에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오보를 막아주고 과도한 압력은 오리피스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켜줌으로써 안전밸브의 역할도 하여 배관 및 압력스위치의 손상을 막고 보호해주는 순간동요압력 조정실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20초 정도는 압력스위치 작동을 지연시킬 수 있다.
.

 
  그러나 최근에 시공되는 설비에서는 이러한 리타딩챔버를 생략하고 압력스위치를 바로 연결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설비에서는 압력스위치 내부에 지연타이머를 부착하여 접점이 이루어지더라도 작동을 지연시켜서 오보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② 압력스위치
리타딩챔버 상단 또는 알람밸브와 직접 연결된 압력스위치는 가압수가 압력스위치에 도달하면 압력스위치의 벨로우즈를 가압하여 접점을 이루어서 회로를 연결시킴으로써 수신부에 화재표시 및 경보를 발령시키게 된다. 벨로우즈는 고무튜브나 알미늄튜브형식으로 되어있다.
압력스위치는 제어반의 펌프 및 수신반과 연결되어 펌프를 직접 가동시키는 방식과 단순히 작동에 의하여 경보와 수신반에 화재표시만 되게하고 펌프의 기동 자체는 배관내의 감압에 따라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에 의한 작동으로 하는 방식의 2가지가 있으나 주로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방식의 것이 통용되고 있다.
 
(나) 패들(Paddle)형 유수검지장치
배관내에 패들을 부착시켜 유수에 의하여 패들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접점을 이루면 회로가 연결되고 경보가 발령되어 유수를 신호한다.

(다) 유수작동밸브
이것은 체크밸브의 구조로서 유수시 밸브의 작동으로 유수 신호를 발하게 되는데 이 밸브에는 마이크로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 밸브가 유수에 의하여 개방될때 마이크로스위치가 작동되면 이 신호가 수신반으로 전달되어 경보 및 화재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같은 유수검지장치 중에서 최근에 가장 많이 통용되는 것은 자동경보밸브(알람밸브)이다.
 
2)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Pre-Action System)
이 설비는 1920년대에 개발되어 1950년대에 발달된 설비로 동절기 배관내에 물이 차있으면 동결로 인하여 설비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설비로서 습식스프링클러설비의 장점을 살리고, 건식스프링클러설비의 결점을 보완한 설비이다. 즉 준비작동식밸브를 설치하고 밸브의 1차측에는 가압송수장치로부터 가압수를, 2차측에는 저압 또는 무압상태의 공기를 채운다. 화재가 발생되면 감지기에 의해서 준비작동밸브가 개방되고 물이 각 헤드 부근까지 송수되어 있다가 계속 화재가 성장하여 열이 가해지면 헤드가 개방되면서 살수가 이루어져 소화를 하도록 되어있다.


 
 
(1) 클레퍼식 준비작동밸브
아래 그림은 클레퍼식 준비작동밸브로서 평상시 정상상태에서는 “작동전”의 그림과 같이 클레퍼를 걸쇠에 의해서 지지하고 걸쇠는 클레퍼 1차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바이패스 관로에 의해서 1차측의 수압에 의해서 밀대를 가압하기 때문에 걸쇠를 밀고 있다. 그러므로 밀대의 걸쇠가 해제시키지 않는 한 클레퍼는 1차측 수압에 의해서 열릴 수 없다. 솔레노이드가 동작하여 밀대를 밀고 있던 가압수를 배출시키면 밀대는 밀려나고 걸쇠를 해제시키기 때문에 클레퍼 1차측 수압에 의해서 클레퍼는 열리고 준비작동밸브의 2차측으로 압력수를 송수하게 된다. 이러한 크레퍼방식의 특징은 밸브가 작동되어 클레퍼가 개방되면 작동후 그림과 같이 걸쇠가 크레퍼의 원래상태로의 복구를 방지하기 위하여 클레퍼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클레퍼가 닫히지 않는다. 소화가 완료된 후에는 ⑫번의 복구레버를 정면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걸쇠의 클레퍼를 받친 위치에서 이탈되면서 클레퍼가 원래의 위치로 내려와 닫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준비작동밸브에는 P.O.R.V가 생략된다.

 

 

(2) 다이아후램식 준비작동밸브
다이아후램실내의 스프링과 1차측에서 중간쳄버 급수용밸브에 의해서 공급된 가압수의 압력에 의해서 다이아후램을 가압하면 밸브디스크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화재감지기의 작동에 의해서 솔레노이드가 개방되면 다이아후램실내의 압력이 감압되면서 밸브디스크가 앞쪽(다이아후램실쪽)으로 밀려나면서 밸브를 개방시키게 되면 압력수가 송수되어 준비작동밸브의 2차측의 말단 스프링클러헤드까지 충전되며 화재에 의해서 헤드가 개방되면
습식스프링클러설비와 같이 살수가 이루어져 소화하게 된다.


 
 
 
(가) 솔레노이드밸브
감지기 작동이나 수동조작함의 기동스위치 조작 또는 화재수신반의 수동 개방스위치 조작시 자동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중간쳄버의 압력을 감소시켜 준비작동밸브의 디스크를 개방시켜 주는 밸브로서 평상시에는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나) PㆍOㆍRㆍV(Pressure Operated Relief Valve)
전자밸브 또는 긴급해제밸브의 개방으로 작동된 준비작동밸브가 1차측 공급수의 압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복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로서 다이아후램식에만 있으며 현재 일부 소방용기계ㆍ기구 제조회사에서는 솔레노이드밸브 상부에 복구방지 스위치를 달아 P.O.R.V 기능을 겸하는 제품이 생산되기도 한다.
(다) 긴급해제밸브(수동기동밸브)
화재발생 또는 밸브의 작동시험시 수동으로 준비작동밸브를 개방시켜주는 밸브로서 평상시에는 폐쇄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라) 슈퍼비죠리판넬
준비작동밸브와 함께 설치되어 밸브와 전원의 상태를 감시하고 수동으로 직접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밸브가 정상상태일 때에는 상단부의 전원표시등만이 점등되고 밸브의 완전한 상태가 아닌 누수나 클레퍼의 정상 복구상태가 아닐 때에는 밸브주의 표시등이 점등된다. 기동스위치를 누르면 화재감지기가 동작된 것과 같이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준비작동밸브가 작동하게 된다.

(마) 화재감지장치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는 별도로 화재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감지기회로는 교차회로(2개이상의 감지회로)방식으로 하여 각 회로상 감지기의 동시감지에 의하여 준비작동밸브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회로가 동작하면 경보만 울릴 뿐 준비작동밸브는 동작되지 않고 2개의 회로가 동시에 동작될 때 준비작동밸브가 동작되도록 구성하는 설비이다.
그러나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또는 헤드에 누설경보용 물 또는 압축공기가 채워지는 경우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203) 제7조 제1항 단서의 감지기(불꽃감지기, 아날로그방식의 감지기, 다신호방식의 감지기, 광전식중 분리형감지기,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 분포형감지기, 복합형감지기, 축적방식의 감지기)를 설치한 때에는 교차회로 방식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바) 경보시험밸브
준비작동밸브를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화재경보를 시험하는 밸브로서 평상시에는 폐쇄상태로 유지하고 시험시 밸브의 개?폐만으로 화재경보를 시험할 수 있다.

3) 건식스프링클러설비(Dry Pipe System)
가압송수장치로부터 입상관로에 건식밸브를 설치하고 밸브의 1차측에는 가압송수장치로부터 공급된 가압수를 채우며 밸브 2차측에는 공기압축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나 질소가스를 충전시켜 놓고, 화재로 인한 열로 인하여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면 압축공기나 질소가스가 배출되면서 밸브 1차측에 있던 가압수가 방수되게 된다. 배관내의 압축공기나 질소가스를 신속히 배출시켜주기 위한 가속장치로 액셀레이터 또는 익져스터가 부속되는 것이 주 특징이다.


 
 
  (나) 급속개방기구(Quick Opening Devices : QOD)
건식설비에 있어서는 물이 헤드를 통해 압력을 갖고 방출되기 위해서는 2차측 관로중의 압축기체가 모두 방출된 이후라야 한다.
이런 연유로 인해 습식설비보다 작동이 늦어져 초기 소화에 차질이 생길수 있다. 따라서 헤드가 개방되었을 때 밸브 2차측의 압력강하를 이용하여 1차, 2차측의 균형을 신속히 파괴시킴으로써 단시간내에 헤드를 통해 방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기능에 따라 엑설레이터와 익져스트가 사용되고 있다.

① 엑설레이터(Accelerator)
헤드가 개방되어 2차측의 압력이 급격히 저하할 때 배관의 공기를 빼주는 속도를 증가시켜주기 위하여 엑설레이터의 입구측은 건식밸브의 클레퍼 2차측 또는 설비배관의 말단부분과 연결되며 출구측은 건식밸브의 중간챔버에 연결되어 있다.
엑설레이터 입구측인 2차측의 적은 압력강하에 의해 엑설레이터가 작동되면 공기 배기밸브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2차측 공기압력을 중간챔버로 보내면 이 압력이 클레퍼를 밀어올려(개방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유수가 시작된다

② 익져스트(Exhauster)
익져스트의 입구측은 건식밸브 직상부 2차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구는 대기중으로 노출되어 있어 헤드의 개방으로 건식밸브 2차측의 공기 압력이 셋팅 압력보다 낮아졌을 때 익져스트(공기배출기)가 작동하여 2차측의 압축공기가 대기중으로 신속히 배출되도록 한다.

(다) 공기압축기
건식스프링클러설비에는 밸브의 2차측에 압축공기를 채우기 위해 콤프레셔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주로 스프링클러설비 전용의 것으로 하나 일반 콤프레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드라이밸브와 주공기공급관 사이에 반드시 공기압력조절기(에어레귤레이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라) 공기압력조절기 및 저압경보스위치
건식설비에서 콤프레셔가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용이 아닌 경우에 건식밸브와 주공기공급관 사이에 설치되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정되며 저압경보스위치는 건식설비의 배관 어느 부분에 공기누설이 생기거나 헤드가 작동했을 때 저압의 공기분출을 감지해서 경보하게 장치된 것으로 건식밸브와 공기공급관 사이에 설치된다.

 

 

  (마) 주배수밸브
화재발생으로 인한 작동 또는 밸브시험후, 2차측 배관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밸브로서 평상시에는 폐쇄상태로 유지되며, 클레퍼 개방시에만 2차측의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출구는 인위적인 배수밸브의 오동작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하여 물시트(Water Seat) 아래쪽에 설치한다.

(바) 드라이펜던트형 헤드
건식설비의 헤드는 습식설비의 폐쇄형헤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데 되도록 상향형헤드를 사용해야 하고 하향형헤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림 82)와 같이 드라이펜던트형 헤드를 설치한다. 건식설비에는 배관내에 물이 없기 때문에 하향형헤드 설치시 일단 작동되어 급수가 되면 하향형헤드내에 물이 들어가 배수를 시키더라도 물이 남아있게 되어 동파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드라이 펜던트형헤드(헤드의 롱 닛블 부분에 공기 등을 주입하여 놓은 형태의 헤드)를 설치함으로서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작동이 된 이후에는 2차측 배관내의 물을 완전히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Deluge System)
일제살수식의 경우 배관 말단에는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수검지장치인 델류지밸브는 그 역할이 준비작동식밸브와 유사하여 주로 준비작동밸브를 사용하게 된다. 소방법상 감지기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기식, 기계식, 뉴메틱식 어느 것이라도 감지기와 연동되면 설비가 가능하다. 따라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준용하게 되는데 유수검지장치의 2차측은 단지 무압상태의 공기로 되어 있고 헤드는 폐쇄형이 아닌 개방형헤드를 설치하는 것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설비구조원리상 물분무설비, 포소화설비, 드렌쳐설비도 헤드의 종류만 다를 뿐 개방형 스프링클러설비인 일제살수식과 동일하다 할 수 있겠다. 작동원리는 감지기에 의해서 화재를 감지하면 유수검지장치인 델류지밸브 또는 준비작동밸브, 일제개방밸브 등이 개방되어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방호구역의 개방형헤드에서 동시에 살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가) 주요 구성부분

(1) 델류지 밸브를 사용한 설비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참조"

(2)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한 설비
일제개방밸브는 감압개방식과 가압개방식의 2가지 종류가 있으며 어느 것이든 밸브의 2차측 배관에는 개방형헤드와 같이 항시 개방되어 있는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물분무헤드, 포 헤드, 드렌쳐헤드 등을 배관상에 부착할 수 있다.

(가) 가압개방식
가압개방식은 그림과 같은 밸브의 1차측에는 가압송수장치로부터 가압수가 충수되어 있으나 ①로 표시된 실에는 압력수가 없다. 그래서 1차측 배관의 가압수로부터 바이패스시켜서 ①실로 가압수가 도달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관로상에 그림과 같이 전자개방밸브 즉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거나, 수동개방밸브를 설치하여 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해서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거나, 수동개방밸브를 개방하면 압력수가 밀려들어가 ① 실의 밸브피스톤을 밀어올리고 일제개방밸브가 열려서 가압수가 일제히 송수되어 헤드로부터 방수되게 된다

.


 
  (나) 감압개방식
감압개방식은 밸브의 1차측 및 ①실까지 가압수가 충수되어 있다가 ①실의 압력이 감압되어 실린더가 위로 밀려 올라가 일제개방밸브가 열리면서 밸브 2차측으로 송수되어 개방형헤드로부터 살수가 이루어진다.

 
 
  ? 전자개방밸브(솔레노이드밸브)
일제개방밸브에 설치하거나 준비작동식밸브에 설치하는 전자개방밸브의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으며 일제개방밸브는 가압식, 감압식 중 종류에 따라 부착위치가 다르며 감지기가 작동되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밸브가 위로 올라가면서 통수가 된다.

 
 
  □ 감시스위치
(1) 주밸브 감시스위치
주밸브 감시스위치는 주 관로 상의 주밸브인 게이트밸브의 밸브핸들에 부착시켜 밸브봉을 스위치의 접촉부에 접촉시켜 놓고, 밸브를 닫게 되면 접촉부와 밸브봉이 떨어지게 되고 수신반에 이상신호를 보내어 항상 관로상의 주밸브를 감시하게 되어 있다.


 
  (2) 모니터 스위치
주밸브 감시스위치와 마찬가지로 주관로상의 주밸브인 요오크밸브의 핸들, 즉 그림상의 게이트밸브의 요크에 걸어서 부착시키는데 밸브를 완전히 열어놓은 상태에서 부착시키면 밸브봉과 밸브스텝이 접촉되어 정상을 유지하고 있다가 밸브를 닫게 되면 밸브봉이 짧아져서 밸브스텝과 떨어지게 되고 수신반이 이상경보를 발하여 주밸브의 개폐를 항상 감시할 수 있다.

 
 
 
 

(3) 탬퍼스위치(Tamper Switch)

 
  탬퍼스위치도 주밸브의 요크에 걸어서 밸브의 개폐를 수신반에 전달하는 주 밸브 감시기능을 한다.


(4) 수위 감시 스위치
수위감시스위치는 부판이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떠오른다. 부판아래에 부착된 멈춤판에 의해 위에 설치된 멈춤판이 아래로 내려가면 접촉스위치를 접촉시켜 급수펌프를 가동시키고 아래에 부착된 멈춤판이 접촉스위치에 접촉되면 만수위를 의미하며 급수펌프의 기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5) 밸브 감시스위치
이것은 주배관이 지하로 통과되는 곳의 지하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였을 경우 지하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는 밸브봉의 몸체에 스위치를 부착하여 그림의 2가지 방법중 어느것이나 채택, 사용할 수 있으며 닫혀서는 아니되는 주배관의 주밸브를 항시 감시하는 기능을 한다.
 

  5) 스프링클러헤드
가) 구조
(1) 후레임(Frame)
스프링클러헤드의 나사부분과 디플렉타를 연결하는 이음쇠 부분
(2) 디플렉타(Deflector)
스프링클러헤드의 방수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세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한다.
(3) 감열체
정상상태에서는 방수구를 막고 있으나 열에의하여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스스로 파괴, 용해되어 헤드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열려 스프링클러헤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부분


 
 
 
  나) 분류
(1) 감열부의 유무에 따른 분류
ㆍ 폐쇄형(Closed Type)
정상상태에서 방수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Fusible Link, 혹은 Glass Bulb)가 일정온도에서 자동적으로 파괴, 용해 또는 이탈됨으로써 분사구가 열려지는 스프링클러 헤드
ㆍ 개방형(Open Type)
감열체(Fusible Link, 혹은 Glass Bulb)가 없이 방수구가 열려져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다) 부착방식에 의한 분류
ㆍ 상향형 : 배관상부에 부착하는 것으로 천정이 콘크리트스라브등으로 마감되어 반자가 없는 곳에 설치하는데 반사판은 40㎜이상이며 분사패턴이 가장 좋은 것으로 반사판의 형태가 니플쪽을 향하여 구부러져 있다.
ㆍ 하향형 : 배관아래에 부착하는 것으로 천정 반자가 있는 곳에 주로 사용하며 반사판은 36㎜로 분사패턴이 상향형보다는 떨어지나 반자의 수손을 적게하며 반구형의 패턴으로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ㆍ 측벽형 : 옥내의 한쪽벽 상단부에 취부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쪽만으로 살수가 이루어지며 주로 기계식 주차설비의 2단 주차 하단부에 많이 설치된다.
   

라) 감열부의 구조 및 재질에 의한 분류

   
 

4) 건식스프링클러설비 작동점검
(그림)을 참고하여 ①테스트밸브를 잠근후 배수밸브 ③를 열어 배수를 시킨후 수신부의 자동복구, 복구스위치를 눌러 복구시키면 경보가 중지된다.
건식밸브를 작동시킬때는 건식밸브 2차측의 주 밸브를 잠근상태에서 하여야 한다. ②수위조절밸브(배수밸브)를 열면 클래퍼 2차측의 압축공기가 감압되면서 가압송수장치작동, 경보발령, 수신반에 화재표시등 점등, 에어콤프레셔 작동, 감압경보발령의 현상이 나타난다. 작동후 복구는 가압송수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건식밸브의 1차측 주 밸브를 잠그고 에어콤프레셔를 중지시킨 다음 ④배수밸브를 통해서 가압수를 완전히 배수시킨후 잠그고 에어콤프레셔를 재작동시킨 다음 2차측의 압력계를 확인하여 정상압력이 충전되면 가압송수장치를 작동시킨후 건식밸브 1차측 주밸브를 서서히 열어 1차압력이 충전되고 건식밸브가 재작동되지 아니하면 건식밸브를 열어주면 된다.

 
다. 점검 및 작동

1) 펌프의 성능시험방법
옥내소화전설비와 동일하므로 옥내소화전설비의 펌프성능시험방법 참고

2) 펌프의 체절운전방법
옥내소화전설비 참조

3) 스프링클러설비의 유수검지장치 작동점검
(그림)의 ⑤번 압력계를 확인하면 2개의 압력계가 동일한 압력을 계기하고 있는데 이것은 ①번 알람밸브의 클래퍼를 중심으로 1차측과 2차측의 압력이 같음을 의미하며 정상상태를 의미한다.
유수검지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은 ④번의 배수밸브를 열면 클래퍼 2차측의 압력을 감소시키므로 클래퍼가 열리면서 압력스위치가 작동되어 경보가 발령되고 수신부에 해당번호구역에 대한 화재표시등이 점등된다. 밸브를 열어놓은 상태를 지속시키면 기동용수압개폐장치방식의 경우에는 잠시후에 가압송수장치가 작동되며 기동용수압개폐장치방식이 아니고 압력스위치 직결형의 경우에는 배수밸브를 열자마자 즉시 가압송수장치가 기동하게 된다. 복구방법은 배수밸브를 다시 잠그기만 하면 그대로 원상복구가 되어 가압송수장치가 멈추지만 경보가 계속 울리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경보를 중지시키는 방법은 수신부의 복구나 자동복구스위치를 누르면 된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서 우선 유수검지장치를 작동시키기 전에 수신부의 자동복구스위치를 눌러놓고 배수밸브를 열면 경보가 울리고 다시 잠그면 경보도 자동으로 복구된다.
물론 시설기준상에는 말단시험밸브를 가지배관의 말단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말단시험밸브를 열면 유수검지장치의 배수밸브를 열었을 때와 똑같은 작동이 이루어지지만 현장에서는 가압송수장치의 측근에 설치된 유수검지장치에서 실시하는 것이 보다 복합적으로 확인 작동할 수 있는 방법이다.


   
4) 건식스프링클러설비 작동점검
(그림)을 참고하여 ①테스트밸브를 잠근후 배수밸브 ③를 열어 배수를 시킨후 수신부의 자동복구, 복구스위치를 눌러 복구시키면 경보가 중지된다.
건식밸브를 작동시킬때는 건식밸브 2차측의 주 밸브를 잠근상태에서 하여야 한다. ②수위조절밸브(배수밸브)를 열면 클래퍼 2차측의 압축공기가 감압되면서 가압송수장치작동, 경보발령, 수신반에 화재표시등 점등, 에어콤프레셔 작동, 감압경보발령의 현상이 나타난다. 작동후 복구는 가압송수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건식밸브의 1차측 주 밸브를 잠그고 에어콤프레셔를 중지시킨 다음 ④배수밸브를 통해서 가압수를 완전히 배수시킨후 잠그고 에어콤프레셔를 재작동시킨 다음 2차측의 압력계를 확인하여 정상압력이 충전되면 가압송수장치를 작동시킨후 건식밸브 1차측 주밸브를 서서히 열어 1차압력이 충전되고 건식밸브가 재작동되지 아니하면 건식밸브를 열어주면 된다.

   
    5) 준비작동식 및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점검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는 준비작동밸브의 2차측에서 말단헤드까지는 일반적으로 무압의 공기상태인 설비가 대부분이다. 정상상태에서 1차 압력계는 가압수의 압력을 지시하고 2차압력계는 0상태이다. 그러므로 점검작동시 준비작동밸브의 2차측으로 급수가 되면 배수작업시간이 소요되므로 준비작동밸브의 2차측의 주 밸브를 잠그고 실시하여 2차 배관으로의 송수를 막아야 한다. 작동방법은 3가지가 있는데 첫째방법은 감지기에 의해서 화재를 감지함으로 수신반에서 감지회로를 2회로 이상 복수로 동작시키면 (그림)에서 ⑤번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시켜 준비작동밸브를 작동시키게 된다.
둘째방법은 ①번 긴급해제밸브를 열면 ⑤번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었을 때와 똑같은 작용을 하여서 준비작동밸브를 작동시키게 된다.
세번째방법은 슈퍼바이조리판넬의 기동스위치를 누르면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준비작동밸브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준비작동밸브를 작동시키는데는 위의 3가지 방법중 어느 것을 택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준비작동밸브를 작동시키기 전에 ③번 배수밸브를 열어놓고 작동을 시켜야 한다. 이와같이 한 다음 준비작동밸브가 작동되면 2차측 압력계가 0상태에서 실제 방출압력을 지시하게 되며 경보발령, 가압송수장치기동, 수신반에 화재표시등 점등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점검후 복구방법은 우선 가압송수장치의 기동을 멈추고 준비작동밸브의 1차측 주 밸브인 ⑩번 밸브를 잠그고 준비작동밸브 내의 가압수가 완전히 배수되기를 기다려서 1차측과 2차측 압력계가 0상태가 되면 ③번 배수밸브를 잠근후 가압송수장치를 기동시킨다. 가압수가 완전히 충전되면 준비작동밸브 1차측의 압력계가 실제압력을 지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준비작동밸브의 1차측 주밸브인 ⑩번 밸브를 서서히 열면서 1차측과 2차측의 압력계를 계속 확인하는데 정상상태는 1차압력계는 가압수의 압력을 계속 유지하고 2차 압력계가 상승하면 준비작동밸브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앞에서 서술된 방법을 다시 되풀이하여야 한다. 주 밸브를 완전히 열어 놓은 후 1차압력계는 가압수의 실제압력을, 2차압력계는 0상태의 압력을 계기하면 정상상태로 복구된 것이다. 따라서 제일 처음에 잠그었던 준비작동밸브의 2차측 주밸브를 열어주면 완전복구된 것이다. 단, 경보발령의 복구는 습식과 마찬가지로 수신반의 복구나 자동복구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복구되며 작동점검 시작전에 자동복구스위치를 눌러놓고 시작하면 자동적으로 복구가 된다. 물론 자동복구가 된 후에는 자동복구스위치를 다시한번 눌러주어 자동복구스위치 자체도 복구시켜 주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6) 일제개방밸브의 작동점검
모든 설비에서 일제개방밸브의 2차측 배관에 설치되는 헤드는 개방형의 형태 즉 일제개방밸브 2차측 배관과 외부의 기류가 통하고 있기 때문에 일제개방밸브가 일단 작동되기만 하면 그대로 방호구역에 방수가 이루어짐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러므로 작동점검을 할 때에는 일제개방밸브의 2차측 주 밸브를 잠궈서 2차측의 헤드로 송수됨을 막아야 한다. 그 다음 일제개방밸브 작동시 가압수의 배수를 위해서 배수밸브를 열어놓고 밸브를 작동시킨다.

7) 말단시험밸브 작동점검
말단시험밸브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별 구조원리상 습식과 건식스프링클러설비에만 설치가 필요하다. 작동방법은 (그림)과 같이 ②번 압력계를 확인하면 말단배관까지 충전된 물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고 ①번 개폐밸브를 열면 배수가 시작되면서 유수검지장치가 작동되어 경보가 발령되며, 잠시후 감압에 의해 가압송수장치가 기동되고 수신반에는 화재표시등이 점등되어 당해 방호구역의 화재표시를 하게 된다. 다시 개폐밸브를 잠그면 원상태로 복구가 되나 경보는 계속 발령된다. 따라서 작동을 시작하기 전에 수신반의 자동복구스위치를 눌러놓고 개폐밸브를 잠그면 동시에 경보발령도 중지된다.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산화탄소화설비  (0) 2010.05.17
물분무 및 포소화설비  (0) 2010.05.17
옥내외소화전설비  (0) 2010.05.17
경보셜비  (0) 2010.05.17
화재시 어린 생명구하기  (0) 201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