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져 사이드 프로포셔너 방식은 (그림 134)와 같이 가압송수용펌프와 소화원액펌프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고 압력이 변동되면 차압밸브에서 자동조절 즉 약제펌프를 가동시켜 송수관로에 소화원액을 강제로 유입시켜주는 방식으로 수용액의 혼합비율을 가장 정확하게 하여 주며 소화원액이 용량 800ℓ이상 되는 대형설비에서 주로 적용되는 방식이다.
다. 포 소화약제의 종류
1) 단백포 소화약제
이 소화약제의 주성분은 식물이나 동물에서 추출한 것으로 수소를 함유한 유기물이며 단백질을 가수분해한 다음 여과, 중화, 농축을 하고 안정제, 접착제, 방부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이다. 이 포소화약제는 다른 포소화약제에 비하여 내화성, 밀봉성이 좋고 가격이 싸지만 부식성이 높고 소화속도가 느리며 경년기간이 짧은 것이 단점이다.
2) 불화단백포 소화약제
이 액은 불소계면제의 성상을 합성했다는 것외에는 단백포와 같다. 단백포액이 드라이케미칼이나 탄화수소계계면활성제, 알콜형포액과 병용하지 못하는데 반하여 이것은 병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내화성ㆍ내유성, 유동성이 좋아 소화속도가 빠르고 기름에 오염되지 않으며 경년기간이 길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 흠이다.
3) 수성막포
일명 라이트 워터라고 상품명으로 쓰이기도 하며 불소계계면활성제포의 일종으로 1960년 초 미국에서 개발되었다. 이것은 연소하고 있는 액체위에 흘러들어 도포되면서 액체표면위에 산소를 견고하고 조밀하게 차단하고 또한 동시에 연소액체 증기의 전개 및 확대를 억제하도록 액면에 수성막을 형성함으로써 질식과 냉각의 두가지의 작용으로서 소화한다.
4) 내알콜형포
내알콜형포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생성물과 합성세제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저팽창율형과 고팽창율형의 원액이 알콜, 기타의 극성액체(수용성액체)보다 속히 파괴되어 끝나는 것에 대하여 어떤 종류의 물질의 첨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작용을 일으켜서 포의 파괴를 방지하고 있다. 즉 원액을 희석하여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포말중의 침전물을 포막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포의 안정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원액을 희석함으로서 발포할 때까지의 시간을 되도록 단축하여야 한다.
5) 합성계면활성제포
합성계면활성제포는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를 주제로 만든 포소화약제를 말하며 유동성이 좋아 소화속도가 빠르고 유출유화재에 적합하다. 내화성과 내유성은 약하여 대형유류 탱크화재에서는 유류에 의한 포의 파괴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라. 포소화약제의 저장량
포소화약제의 저장량은 포소화설비 별로 다음의 기준에 의한다.
1) 고정포 방출구 방식
위험물 옥외탱크에 설치하는 고정포 방출구 방식의 경우 다음의 각각을 합한 양[(1) + (2) + (3)] 이상을 저장한다.
(1) 고정포방출구에서 방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
Q = A × Q₁× T × S
Q : 포 소화약제의 양(ℓ)
A : 탱크의 액표면적(㎡)
QN : 단위 포소화수용액의 양 (ℓ/㎡ㆍmin)
T : 방출시간(min)
S : 포 소화약제의 사용농도(%)
(2) 보조 소화전에서 방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
Q = N × S × 8,000ℓ
Q : 포 소화약제의 양(ℓ)
N : 호스 접결구수(3개 이상인 경우는 3)
S : 포 소화약제의 사용농도(%)
(3) 가장 먼 탱크까지의 송액관(내경 75㎜ 이하의 송액관을 제외한다)에 충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
2) 옥내포소화전방식 또는 호스릴방식에 있어서는 다음의 식에 따라 산출한 양 이상으로 할 것. 다만, 바닥면적이 200㎡ 미만인 건축물에 있어서는 그 75%로 할 수 있다.
Q = N × S × 6,000ℓ
Q : 포 소화약제의 양(ℓ)
N : 호스 접결구수(5개 이상인 경우는 5)
S : 포 소화약제의 사용농도(%)
3) 포헤드방식에 있어서는 하나의 방사구역안에 설치된 포헤드를 동시에 개방하여 표준방사량으로 10분간 방사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할 것
마. 포방출구의 종류
포소화설비에는 소화약제 혼합장치외에 더욱 중요한 것이 발포기로서 특히 공기포 소화설비의 경우 발포기의 역할이 없이는 포를 형성할 수 없고 수용액을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공기를 흡입시켜 포를 형성하게 되며 그 종류는 포헤드(홈헤드, 홈워터스프링클러헤드), 고정포방출구(공기포방출구, 화학포방출구), 포노즐, 이동식방출구, 모니터노즐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고정포 방출구
고정포방출구는 위험물 저장탱크의 측판에 고정하여 발생한 포를 탱크내부의 화재유면에 방출하는 방출구이다.
가) Ⅰ형 방출구
(1) 크로스섹션 뮬러 튜브 챔버
이것은 뮬러튜브라는 굵은 조직으로 된 석면튜브를 감아서 철제 챔버속에 넣고 그 한쪽 끝을 가압송수관로에 연결하고 말단부는 열려 있는 상태로 끝을 고정시키지 않아서 가압송수가 되면 방출압력에 의해 유면을 이동하면서 포를 방출하여 유면을 포로 덮게 된다. 챔버와 탱크측판 사이에는 가연성가스나 기름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출압에 의해 쉽게 파괴될 수 있는 얇은 연판등으로 막혀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