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행안부,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반 꾸려 전통시장 화재 재발 막는다

Dr.risk 2023. 3. 24. 20:21

화재 안전 기존 제도 실효성 검토ㆍ관계부처와 신규 개선과제 발굴 등

▲ 지난 6일 오전 1시 49분께 강원 삼척시 사직동 번개시장에서 불이 나자 소방대원이 진화를 하고 있다.  © 강원소방본부 제공


[FPN 박준호 기자] = 최근 전통시장에서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자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가 재발 방지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지난 4일 인천 현대시장에서 방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점포 205개 중 47개가 불에 탔다. 지난 6일에도 강원도 삼척 번개시장에서 불이 나 점포 3곳이 전소했다.

 

이에 행안부는 앞으로 3개월간 ‘전통시장 화재 재난원인조사반’을 운영해 전통시장의 근본적인 화재 예방 대책 마련에 나선다.

 

조사반은 정기신 세명대학교 교수를 반장으로 민간 전문가 6명과 행안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소방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과장급 5명 등 13명으로 구성됐다.

 

오는 15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자에서 진행되는 첫 회의에서는 전통시장 화재 특성과 조사반 운영 계획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조사반은 2주마다 정례회의를 개최해 전통시장 화재 안전 관련 기존 제도의 실효성을 검토한다.

 

또 관계부처와 신규 개선과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5월 말까지 재발 방지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화재 발생 당시 작성된 소방청의 화재현장조사서를 기초로 최근 10년간 발생한 전통시장 주요 화재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관계부처의 화재 안전관리 대책들을 살펴볼 계획이다.

 

화재가 발생한 전통시장을 방문, 시장 상인회와 해당 자치단체, 소방관서 의견을 수렴해 화재 취약 요인을 분석하고 화재 진압 시 문제점과 애로사항 등도 청취할 예정이다.

 

정기신 교수는 “전통시장 화재 예방을 위해 소방서와 지자체가 정기적으로 안전점검을 하고 있지만 매년 50여 건의 화재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실정”이라며 “이번 재난원인조사를 통해 사후약방문식의 대책이 아닌 근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고광완 재난협력정책관은 “전통시장 종사자 대부분은 영세한 중소상인과 지역 서민들이기 때문에 대형화재가 발생하면 한순간에 삶의 터전을 잃고 생계에도 위협을 받게 된다”면서 “과거 유사 사고 원인분석을 통해 전통시장 화재 예방과 초기 대응에 그간 정부 정책의 사각지대가 없었는지 면밀히 살펴 현장에서 실효성 높은 화재 예방 대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