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및 재해

사회재난 대비 전문교육 내년부터 전면 확대

Dr.risk 2018. 12. 10. 18:15

사회재난 대비 전문교육 내년부터 전면 확대

22개 중앙부처 교육원ㆍ공공교육 기관 사회재난 중점교육기관 지정

▲ 사회재난 중점교육기관 지정 계획     © 행정안전부 제공

 

[FPN 최누리 기자] = 최근 상도 유치원 붕괴와 고양 저유소 화재, 아현동 KT 통신구 화재 등 대규모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정부가 안전 종사자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 이하 행안부)는 지난 27일 재난안전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재난 대비 전문교육을 내년부터 전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회적 파장이 큰 주요 재난의 경우 관계부처와 함께 재난 예방과 대응 교육을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행안부에 따르면 사회재난이 발생하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예방과 대비 체계 확립이 중요하다. 각급 분야에서 전문화된 대응인력 양성도 시급한 실정이다. 또 생활 현장에서 지역주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재난 대응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인식도 확대돼 왔다.

 

이에 행안부는 22개 중앙부처 교육원과 공공교육 기관을 사회재난 중점교육 기관으로 지정하고 화재ㆍ붕괴ㆍ교통ㆍ해양사고 등 사회재난 전 분야에 걸친 전문교육을 가동할 예정이다. 각 부처교육원과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을 통한 집중 전문교육도 진행하기로 했다.

 

지역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사회재난 교육과정은 16개 시ㆍ도 교육원에 개설해 해당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재난 대응 방안을 교육할 방침이다. 향후에는 교육 효과 평가를 통해 교육과정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계절성 재난에 대해서는 취약 시기 도래 전 관계기관(관계부처ㆍ지자체ㆍ관계기관) 합동으로 대비 교육을 진행한다. 또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메르스 등 전염성이 강한 재난이 특정 지역에 발생하면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확산방지 긴급교육을 추진한다.

 

재난관리 종사자 대상의 사회재난 전문교육 체계 마련과 중앙, 지자체, 전문가 간 협력체계를 가동하기 위한 사회재난 교육협의회도 구성한다. 

 

배진환 재난협력실장은 “갈수록 복잡ㆍ다양화 되는 사회재난에 대한 범정부적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무엇보다 재난 안전 담당자 대상 전문교육이 필요하다”며 “행안부는 재난 안전을 총괄ㆍ지원하는 기관으로서 관계기관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사회재난 예방과 대응 역량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