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안전

'시한폭탄' 대학실험실 환경 안전 강구해야

Dr.risk 2015. 11. 5. 08:12

'시한폭탄' 대학실험실 환경 안전 강구해야

충청권 대학의 실험·실습실 안전이 위험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충청권 6600여개 실험·실습실 중 11%에 해당하는 728곳에서 문제가 있다는 진단이다. 심지어 결함이 심해 사용을 제한해야 하는 곳도 있었다. 10곳 중 한 곳에서 안전상 결함이 발견됐다는 건 심각한 일이다. 전국 4년제 일반대학의 86%가 양호한 평가(1~2등급)를 받은 것과 사뭇 대조적인 결과다.

최고 시설을 자랑한다는 KAIST에서는 지난 10년간 80건 넘는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7월엔 대전의 한 대학교 실험실에서 로켓추진체 연료합성 실험을 하던 중 폭발사고가 났고, 장시간 전열기구 가동으로 실험용매에서 화재가 난적도 있다. 지난 2010년엔 아산의 대학실험실 폭발사고로 6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이들은 방폭(폭파방지)실험실에서 천연가스(CNG) 버스 폭발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실험을 하던 중 변을 당했다.

한 번씩 굵직한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안전 불감증을 되뇌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안전사고에 관대해 보인다. 특히 대학실험실에서 벌어지고 있는 안전사고는 오랜 기간 문제시 돼왔지만, 지난 2006년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에도 효과는 미미하다. 실험 시 복장 불량, 방치된 시약병, 폐수 불법배출 등 기본 매뉴얼조차 지키지 않는 곳이 많다고 한다.

최근 5년간 실험실 안전사고 중 92.4%인 565건이 대학에서 발생했다. 대학 실험실은 폭발하기 쉬운 인화성 물질과 피부 접촉만으로도 상해를 입는 질산, 황산 등의 위험물질이 많아 순간의 사고가 큰 사고로 확산될 수 있다. 더욱이 외부로 유출될 경우 지역사회에도 위협이 된다. 학교별 안전교육이 형식적인 점검에 머무르는 것도 문제다. 사고의 주요 원인 중 78%가 부주의에 의한 사고라는 건 시사하는 바 크다.

교육부는 올해 1500억원을 신규 편성해 국립대 실험실 환경을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소극적 액션에만 그칠 일이 아니다. 실험실 안전을 위해 노후 장비 교체 등 기본 환경 조성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글로벌 경쟁시대에 대학들은 차별화된 전략을 내세우느라 분주한 모습들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먼저 고민해야할 것은 안전하게 공부하고 마음껏 실험할 수 있는 환경 제공이 돼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