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화재…안전 '사각지대' 대학 실험실은 불안하다
(전국종합=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대학 실험·실습실이 불안하다.
화재, 폭발, 독성기체 등 각종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수많은 위험 물질을 취급하는 하는 곳이지만 안전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실험실에서 화재가 잇따라 발생, 이 같은 우려를 더해준다.
대학 실험실이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소방당국의 안전관리 대상에서 벗어나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 부산대 등 실험실 화재 잇따라…전국서 연 100여건 발생
21일 오후 7시 10분께 서울 상명대 자연과학대학 실험실에서 불이 났다. 실험실에 있던 학생 3명은 급히 대피,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이날 불은 암모늄, 칼륨 등 폐실험약품을 버리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생겨 열과 연기가 발생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지난 16일 오후 5시 44분께 부산대학교 제7 공학관 3층 실험실에서도 불이 났다. 불이 나면서 많은 연기가 발생하는 바람에 건물에 있던 수십 명이 놀라 긴급 대피했다.
이날 화재도 못 쓰게 된 약품을 처리하다가 서로 혼재하면 안되는 물질이 섞이면서 불이 난 것으로 소방당국은 보고 있다. 이에 앞서 부산대에서는 지난 1일 오후에도 3차원 레이저 실험실에 폭발사고가 나 학생 3명이 얼굴과 목 부위에 1∼2도의 화상을 입었다.

소방당국은 이날 폭발이 화학물질인 적린과 염소산칼륨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일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방방재청 등에 따르면 대학 실험·실습실 내 화재·폭발사고는 전국적으로 연 100여건 이른다.
이들 사고의 대부분은 염소-암모니아, 과산화수소-구리, 질산-초산 등 처럼 '공존할 수 없는 물질'(incompatible substances)이 섞이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일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 안전관리대상서 제외, 안전수칙도 안지켜
대학 실험·실습실에 취급하는 화학물질은 얼마나 될까.
소방방재청이 2014년 마련한 '실험실 위험물 안전관리 가이드'에 보면 3천여종의 위험물이 실험실에서 취급·사용된다고 밝혔다.
위험물은 위험 정도 등에 따라 1∼6류로 구분한다.
1류 위험물은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등 산화성 고체로 가열·충격·마찰이나 다른 약품과 접촉하면 다른 가연물의 연소를 돕고 폭발성 위험이 있다.

일반인들이 잘 아는 아세톤, 휘발유 등은 제4류 위험물로 상온에서 인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들 보다 더 위험한 물질은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등으로 피부에 닿으면 점막을 부식시킨다. 물과 만나면 발열하고 가연물과 분해를 촉진하는 약품을 만나면 폭발하는 성질이 있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는 이들 물질을 일정량 이상 이른바 '지정수량' 이상을 보관하고 있을 때만 소방법 적용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염소산염류 50kg 이상, 적린 100kg 이상, 아세톤 200ℓ 이상 이런 식이다.
그러나 대학 내 실험실은 모두 소량의 물질을 보관하기 때문에 관할 지역 소방서의 안전관리 대상에서 제외돼 있어 사실상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셈이다.
대학마다 안전관리담당자를 두고 실험실 안전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안전규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게 소방당국의 판단이다.
부산소방본부가 지난해 11월 부산지역 대학의 실험실을 대상으로 점검을 벌인 결과 용기에 라벨마크가 없거나, 시약물질 보관불량, 위험물질 혼재보관 등의 문제점을 적발하고 해당 대학에 시정을 권고했다.
부산소방본부 관계자는 "고글 등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지 않고 실험을 하거나, 시약을 폐기할 때는 다른 물질과 섞이지 않도록 밀봉된 상태로 처리해야 하지만 실험실 내 정리정돈이 안 돼 있어 섞일 우려가 있는 실험실이 많았다"고 말했다.
최근 잇단 실험실 사고가 난 부산대는 최근 총장 주재로 비상대책회의를 열어 전체 실험실을 대상으로 특별안전점검을 벌여 실험실 안전대책을 새로 마련키로 했다.
'연구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발·누출… 불안한 대학 실험실학생 (0) | 2016.06.24 |
---|---|
교육·관리 부실에 교수 부재…안전불감 대학 실험실 (0) | 2016.06.24 |
지역대학 실험·실습실 안전 사각지대… 5년내 정밀점검 미실시 (0) | 2015.12.22 |
'시한폭탄' 대학실험실 환경 안전 강구해야 (0) | 2015.11.05 |
[미래창조과학부]15년도 연구실안전환경구축사업 (0) | 201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