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 실험·실습실 안전 사각지대… 5년내 정밀점검 미실시
실험실 안전 전담인력 미비
안전등급현황 ‘4등급’ 시설도
![]() |
최근 대학 내 실험실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역 대학 실험실도 안전관리체계가 허술한 것으로 드러나 보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강원대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 강원대 삼척캠퍼스의 한 실험실에서 성분을 알 수 없는 시약누출사고로 학생 2명이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학생들끼리 작업을 하던 중 약품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병째로 따로 폐기해야 할 화학물질을 한 통에 뒤섞어 버리면서 폭발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사고 당시 안전관리책임자인 담당 교수는 학생들에게 작업을 맡긴 채 외부 출장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충청권 대학 실험실 역시 안전관리체계가 허술해 보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대학들은 실험실 안전 전담인력을 두고 있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었고 안전을 위해 받아야할 정밀점검을 미실시한 대학도 상당수였다.
실제 대학정보공시의 '2015년 실험·실습실 안전관리 현황'에 따르면 대전권의 경우 올해 인적피해에 속하는 사고만 5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지만 안전관리는 미흡한 상태였다.
대전권 주요 대학 11곳 가운데 안전환경관리자 전담인력을 두고 있는 대학은 충남대와 한밭대, 배재대 등 3곳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국립대 2곳을 제외하면 사립대는 한 곳만 전담인력을 두고 있는 셈이다.
또 과학기술분야 실험·실습실 안전등급 현황의 경우 3등급을 받은 곳이 187개로 파악됐다. 3등급은 실험·실습실 안전환경 또는 연구시설에 결함이 발견돼 안전환경 개선이 필요한 등급을 의미한다.
충청권 한 대학은 심각한 결함이 발견돼 사용에 제한을 가하거나 즉시 개선해야 하는 4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권 한 대학 재학생은 “사고 발생 시 메뉴얼에 대한 전문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느낀다”며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대다수라 자칫 대형사고라도 발생하면 아찔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연구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관리 부실에 교수 부재…안전불감 대학 실험실 (0) | 2016.06.24 |
---|---|
잇단 화재…안전 '사각지대' 대학 실험실은 불안하다 (0) | 2016.06.24 |
'시한폭탄' 대학실험실 환경 안전 강구해야 (0) | 2015.11.05 |
[미래창조과학부]15년도 연구실안전환경구축사업 (0) | 2015.06.24 |
국립대학 실습실 안전위해 1606억 첫 지원 (0) | 201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