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전선가닥수 구하기

Dr.risk 2010. 5. 18. 07:37
우선 전선가닥수 구하기 문제를 크게 나누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자동화재탐지설비(발신기,수신기,감지기로 구성된 도면)
2. 옥내외 소화전 설비(옥외소화전 설비는 거의 출제가 안됨)
3. 스프링클러소화설비
4. CO2 및 할론 소화설비(가스계소화설비)
5. 제연설비
6. 자동방화문설비
7. 제연창설비
8. 방화셔터설비

이중 1번..
자탐설비의 소방전기배선은 기본이 7가닥임을 확실히 인지하는데서 출발합니다.

기본적으로..
① 회로선 ② 회로공통선 ③ 경종선 ④ 경종표시등공통선 ⑤ 응답선 ⑥ 전화선 ⑦ 표시등선

..으로 구성된..

그리고 문제의 조건 및 상황에 따라 각 선의 수에 변동이 생기는데...

여기서 ⑤ 응답선 ⑥ 전화선 ⑦ 표시등선.. 이 세가지는 무조건 1가닥씩이라 생각하면 됩니다.(일단 편해졌죠.)

① 회로선은 표시선,지구선,감지기선이라고도 칭할 수 있는데..(같은 말임)

종종단저항수 또는 경계구역번호개수(경계구역수) 또는 발신기 세트 수마다 1가닥씩 추가 등에 비례하여 그 전선수가 늘어납니다.
이때 상기 세가지 변수를 모두 합산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순위가 종 > 경 > 발.. 순이라는 겁니다.

즉 종단저항이 2개면 회로선도 2개가 추가되되.. 종단저항이 보이지 않을 경우 경계구역 수를 따지고, 이 둘의 정보가 없는 경우 발신기 set를 따진다는 겁니다.


② 회로공통선(=공통선)은 특별한 관련조건이 없는 한 기본적으로 7회로(① 회로선의 개수) '초과시'마다 1가닥씩 추가됩니다.
즉 회로선의 개수가 7개까지는 회로공통선은 1가닥이고 8회로부터 13회로까지는 2가닥, 14회로부터는 3가닥.. 이런 식의 비례 규칙성을 보입니다.

단 이에 대한 다른조건이 문제에서 주어지면 그 조건에 따라야만 합니다.
즉 "공통선은 6경계구역 초과시 별도로 결선한다." 등과 같은 조건이 주어지만 7회로초과 기준이 아니라 문제조건의 기준에 따라주어야 한다는겁니다.


③ 경종선은 경보방식이 일제경보방식이나 우선경보방식이냐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이 경보방식은 문제 조건에서 친절이 알려주는 경우도 있지만, 층수와 연면적 조건(5층 이상 and 연면적 3000 ㎡ '초과'[이상아님])으로 스스로 판별해야 합니다.

일제경보방식에선 간단히 그냥 1가닥만 필요한 반면...
직상층 우선경보방식의 경우엔 지하층은 그냥 일제경보방식과 같이 무조건 1가닥으로 처리해주되.. 지상층의 경우에는 층별마다 고려하여 경종선 수를 늘려주어야 합니다.

경종선이 그냥 무조건 1가닥이면 전체에 경종이 울리며.. 각각 개별적으로 선을 독립하여 결선하면 특정층마다 선택적으로 그래고 개별적으로만 경종을 울릴 수 있게되거든요.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알 수 있을 듯..


④ 경종표시등공통선의 경우는 아무 조건이 없으면 그냥 기본적으로는 1가닥이라 보면 되지만..
만약 “7경계구역이 넘을 시 발신기공통선, 경종 및 표시등공통선은 각각 1선씩 추가” 라는 조건이 나오면, 회로공통선과 같은 비율로 늘려주면 됩니다.


자탐분야의 기본적인 전선가닥수 기본중의 생기본적 원리는 일단 여기까지...



기본 원리를 일단 숙지하시면서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제를 비교하며 풀어보시면..
스스로 이해가 되면서 응용력이 생길겁니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시설설치유지법 대폭 개정  (0) 2010.05.27
건강의 의미  (0) 2010.05.19
소방시설조견표  (0) 2010.05.17
국제관련 사이트  (0) 2010.05.17
국내 안전 관련 사이트  (0) 2010.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