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경남형 마을안전지킴이 뜬다…올해 자치경찰 안착 '총력'

Dr.risk 2022. 3. 6. 10:20

마을안전지킴이·생활실험 프로젝트·빅데이터 분석·안심등불 사업 등 추진

연합뉴스경상남도 자치경찰위원회는 지역별 특성에 맞는 치안행정 서비스 등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자치경찰의 1호 사업인 '집에서 학교까지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조성'은 어린이 교통사고 매년 10% 감소를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사업을 시작한 지 6개월이 지난 현재 어린이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1.8%, 부상자는 9.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CCTV 설치 등 어린이 통학로 658곳의 시설을 개선한 데 이어 올해는 861곳을 대상으로 추진한다.

민관경이 촘촘한 지역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마을안전지킴이(가칭)' 사업은 올해 3개 시군을 대상으로 6월부터 11월까지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

안전아이로 지도서비스. 경남도청 제공2인 1조로 움직이는 마을안전지킴이는 범죄예방 전담경찰관과 함께 원룸 밀집 지역, 안심 귀갓길, 노숙인·외국인 밀집 지역 등 우범·취약 지역을 순찰한다.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경남형 마을안전지킴이 표준 모델'로 만들 계획이다.

경남은 섬, 시골 등 관할 구역이 넓은 데 비해 경찰 인력은 한정적인 상황으로, 최근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늘고 있는 만큼 치안 서비스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자치경찰은 시민참여형 문제해결 플랫폼인 ' '과 공동체 치안접근법인 ' '를 접목한 '도민안전 생활실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도내 비영리법인·민간단체, 대학 산학협력단 등이 주축이 돼 선정된 도민 정책 제안을 오는 5월부터 실험한다. 실험 성과 공유회와 현장 평가 등을 거쳐 내년부터 해당 정책을 실행에 옮긴다.

셉테드 기법 안심골목 조성. 경남도청 제공자치경찰은 빅데이터 분석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 개발에도 나선다.

도내 상권, 유동인구, 불법주차 단속현황 등을 활용해 지역별 범죄위험성을 평가한 뒤 순찰노선 최적화, CCTV 설치 장소 등 설정하는 '치안빅데이터를 활용한 경남 범죄위험성 평가도구'를 개발했다. 예측적 경찰활동 프로세스 활용을 목표로 데이터를 분석한다.

 
비대면 거래 증가로 교통사고가 늘고 있는 이륜차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자 '머신러닝 기반 이륜차 사고 데이터 분석'도 했다. 최근 3년간 발생한 이륜차 사고를 운전자 특성별·외적환경 등으로 분석해 교통사고 감소 정책 수립에 적용한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범죄 예방 교육을 추진한다. 아동학대·성폭력·학교폭력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 예방 차원에서 온라인 교육을 위한 체험 플랫폼을 구축한다. 아바타 형태로 다수 인원이 동시에 범죄 예방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가상공간 3곳을 마련할 계획이다.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에 LED 바닥 신호등 설치. 경남도청 제공자치경찰은 도민 요구에 따라 횡단보도 교통사고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한다.

신호등이 없고 야간 또는 비가 올 때 운전자 시야가 제한된 지역을 대상으로 횡단보도 양옆을 따라 함몰형 도로표지병을 설치하는 '횡단보도 안심 등불 사업'을 추진한다. 도내 18개 시군 중 횡단보도 교통사고율이 높은 90곳을 대상으로 상반기 안에 설치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김현태 경남자치경찰위원장은 "생활안전·여성청소년·교통 등 자치경찰 사무 전반에 걸쳐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들을 구상하고 실행해 올해 경남형 자치경찰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이끌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