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영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영웅의 여정(A Hero’s Journey)은 깨달음의 과정

Dr.risk 2010. 5. 12. 17:29

비교신화학자인 죠셉 캠벨은 신화 속 “영웅의 모험은, 그의 삶에서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나타낸다”고 말합니다. 그에 따르면 신화에서 이 깨달음은 잠든 공주를 깨우고, 용을 죽이고, 어두운 숲 속에서 길을 잃고, 고래에 삼켜지고, 아버지를 만나 화해하고, 여신과 결혼하는 것으로 상징됩니다. 하지만 영웅이라고 해서 깨달음을 쉽게 얻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모험이 영웅을 만듭니다. 영웅의 전제 조건은 모험이고, 모험이 영웅을 완성합니다. 그래서 캠벨은 “영웅적인 삶은 ‘각자만의’ 모험을 실행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합니다.

 

캠벨이 말하는 ‘영웅의 여정(A Hero’s Journey)’은 깨달음의 과정이고, 깨달음은 시련과 고독의 길에서 솟아납니다. 모든 모험에는 위험이 따르기 마련입니다. 온갖 시련과 고독의 시기를 거친 사람만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련은 한 번에 끝나지 않고, 영웅은 점점 강력한 괴물과 험난한 장애물과 직면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신화마다 다르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영웅이 예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시련을 겪는다는 것입니다.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에서 캠벨은 말합니다.

 

“추악한 것이 기다리고 있다고 생각하는 곳에서 우리는 신을 발견할 것이고, 남을 죽일 수 있다고 생각하던 곳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죽일 것이며, 밖으로 나간다고 생각하던 곳을 통해 우리는 우리 존재의 중심으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고, 외로우리라고 생각하던 곳에서 우리는 세계와 함께 하게 될 것이다.”

 

시련의 극복은 영웅에게 더 큰 시련을 불러옵니다. 그는 절체절명의 위기, 즉 ‘심연’으로 빠져들게 됩니다. 여기서 영웅은 실패하고 좌절하고 낙담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가장 밑바닥에서 헤매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깨달음이 솟아오른다는 것입니다. 캠벨의 표현을 빌리면 “우리 안의 더 깊은 힘을 찾아내는 기회는 삶이 가장 힘겹게 느껴질 때 비로소 찾아옵니다.” 깨달음은 쉽게 오지 않지만 시련과 고독의 과정을 통해 단련된 영웅은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깨달음의 내용은 대체로 외부가 아닌 내면에서 ‘자기 힘의 원천’을 자각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영웅은 정신적 도약과 의식의 확장을 실현합니다. 영웅의 깨달음에 대해 캠벨은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돌이켜보면, 모험적인 여행은 성취하기 위한 노력이 아닌 재성취하기 위한 노력,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아닌 재발견하기 위한 노력이었던 듯하다. 영웅이 애써 찾아다니고 위기를 넘기면서 얻어낸 신적(神的)인 권능은 처음부터 영웅의 내부에 있었던 것으로 드러난다. (...) 이런 시각에서 보면 영웅은, 우리 모두가 내장하고 있되 오직 우리가 이 존재를 발견하고 육화(肉化) 시킬 때를 기다리는 신의 창조적, 구원적 이미지의 상징이다.”

 

제가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을 처음 읽은 건 2001년입니다. 당시에는 의욕만큼 와 닿지 않아 대강 훑어보고 말았습니다. 2004년에 두 번째로 읽었습니다. 이때 약간의 재미와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만족스럽지 않았습니다. 얼마 전에 세 번째로 읽었습니다. 이번에는 재미가 더했고 여러 깨달음이 찾아왔습니다.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읽을수록 멋진 책입니다. 읽을수록 더 기대되는 책입니다.

 

* 오늘 소개한 책 : 죠셉 캠벨 저, 이윤기 역,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민음사, 1999년

 

* 공지

변화 경영연구소에서는 ‘사자로 사는 법-평생직업으로 가는 필살기 창조 프로젝트’에 참가할 1기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책임과 의무의 고단한 ‘낙타의 삶’에서 차별적 전문가로 평생 일할 수 있는 ‘사자의 삶’으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직장인 경력 혁명 프로젝트입니다. 구본형 소장이 정립한 ‘필살기 창조 모델’을 따라 쉽고, 명료하고, 강력하게 접근합니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등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