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펌프란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모타펌프를 소방에 쓰면 소방펌프라 간단히 이해할수 있듯이 엔진펌프도 소방에 쓰면 소방펌프의 일종이라고 할수 있듯 | |||||||||||||||||||||
엔진펌프와 모타펌프의 공통점은 "펌프"란 용어이고, 차이점은 "엔진"이란 용어와 "모타"란 용어의 차이로서 펌프의 동력원이 "모타" 인가 "엔진"인가의 차이일 뿐입니다.
| |||||||||||||||||||||
엔진펌프에 대한 이해를 이번에는 "동력 전달의 과정" 관계에서 살펴보면 소방설비에서 엔진펌프를 이해하는데 보다 도움이 될것입니다. | |||||||||||||||||||||
| |||||||||||||||||||||
2. 소화설비에서의 엔진펌프 설치(System) 소화설비의 구성하는 방법은 주로 엔진펌프의 단독(ON-OFF 운전방법) 설치, 엔진펌 프와 보조펌프의 설치 방법, 주모타펌프와 엔진펌프, 보조펌프 설치, 엔진펌프 와 예비 엔진펌프 즉, 엔진펌프 2대와 보조펌프의 설치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방법 등 이 가능하나 실제적으로 엔진펌프와 보조펌프로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또한 소방법의 규정에 따라 옥상 물탱크가 없을 때는 엔진펌프를 2대를 병렬 연결하여 현장의 특성에 의한 동시부하 운전, 순차부하 운전 등 다양한 운전방법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엔진펌프의 운전방법은 주로 압력수조방법(압력챔버를 사용하여 기동및 정지를 압력스위치 로 하고 있음 )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압력수조를 설치하지 않고 토출 배관에 압력스위치 를 설치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국내에는 적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2.1. 엔진펌프 단독 운전(ON-OFF 운전) 소화설비를 엔진펌프 단독 운전의 경우는 주 모타펌프를 설치하지 않고 주 모타펌프 대 신 엔진 펌프를 주펌프로 대체하여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① ON-OFF 운전 소화설비중 소화배관내의 압력차를 이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ON-OFF 시킴으로 엔진펌 프를 수동 동작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방법이며, 보조펌프 및 압력챔버를 설치하지 않는 소화설비 구성 입니다. 이때는 수동방식만이 가능하며, 별도의 ON-OFF수동기동을 위한 누름버튼 스위치가 있어야 하며, 자동소화설비인 스프링클러에는 적용할수 없읍니다. ② 필요 전원 ON-OFF 운전 방식에 있어서의 필요 전원은 단상 220V 전원으로서 축전지의 자동충전 전원 및 예열히타 전원, ON-OFF 회로 구성 전원으로 주로 1KW 미만의 전원을 필요로 합니다. ③ 수신기와의 연동 소방용 엔진펌프의 운전반에서는 ON-OFF 회로 구성의 AC220V 입력 2단자가 인출되 어 있거나 운전 접점(시그널)은 무전원의 접점만을 필요로 하며(ON-OFF 회로 구성을 엔진펌프 운전반에 회로를 구성 하거나 수신기에 회로를 구성 하는 방법에 따라서 입 력 전원 단자 혹은 무접점의 인출방식 구분), 소방펌프의 운전시 수신기에 운전 확인 램프를 점등시켜하므로 전원 공급단자 또는 무접점 2단자와 확인 램프용 연결 2단자 등 4단자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수신기의 소방펌프 확인 램프는 일부 수신기에는 220V 전원용 램프를 적용하고 있으 나 비상 용 발전기의 적용이든 소방용 엔진펌프의 적용이든 수신기 내부의 전원과 동 일한 램프를 적용하되 무전원의 접점(무접점)을 받아 점등하여야 합니다. 엔진펌프에서는 전기 발생 장치가 없는 장비이며, 비상용 발전기는 전기 발생 장치(발 전기)에 의한 전기을 생산 펌프에 동력원을 공급하여 주나 유사시 발전 전원 부하단의 이상시 발전기는 정지되는 회로가 구성되고 있으므로 220V 전용 램프의 적용은 검토의 대상으로볼수 있습니다. 2.2. 엔진펌프 및 보조펌프 설치 소화설비를 주 모타펌프를 설치하지 않고 엔진펌프를 주펌프로 대체하며 보조펌프와 같이 설치 소화배관내의 압력차를 이용(압력챔버의 스위치 접점 이용)하여 자동 기동/ 정지하는 일반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운전방식은 상용 전원을 펌프의 동력원으로 하는 주 모타펌프의 설치를 하는 않는 방법으로서 별도의 비상전원을 위한 발전기를 필요치 않고 이에 따른 장비 설비비 및 이에 따르는 동력전원의 설비 비용 등의 절감 잇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① 엔진펌프 및 보조펌프 운전 압력수조 방법으로서 주 엔진펌프 와 보조펌프, 압력챔버를 설치하여 소화배관내의 압 력차이를 압력 챔버에 부착되어 있는 압력스위치의 단락 접점을 이용하여 엔진펌프의 자동 기동/정지 운전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용전원과는 관계하지 않는 운전방법입니다. ② 필요전원 엔진펌프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은 공히 단상 220V을 필요로 하며, 축전지의 자동 충전 용 전원 및 예열히타 전원용 필요로 합니다. 엔진펌프와 보조펌프의 회로 구성을 동일함에 구성 할시에는 별도의 전원 입력은 필요 로 하지 않으며 보조펌프의 동력 입력 전원에서 220V를 인출 회로를 구성하고 있습니 다. ③ 수신기와의 연동 이 방식의 설치시 수신기와의 연결 단자는 엔진펌프 운전 접점 2단자, 엔진펌프 운 전 확인 접점 2단자, 보조펌프 운전 접점 2단자, 보조펌프 운전 확인 램프용 접점 2단자 등 8 단자을 필요로 합니다. 2.3. 모타펌프 및 엔진펌프, 보조펌프 설치 소화설비를 주 모타펌프 및 엔진펌프, 보조펌프와 같이 설치 상용전원과 관계하면서 소 화배관내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자동 기동/정지하는 설치 방법으로서 주로 권장하는 방 법입니다.
① 모타펌프 및 엔진펌프, 보조펌프 운전 소화 배관내의 압력차를 이용 자동 기동/정지 하는 운전방법이나 상용전원의 공급이 있을시에는 주 모타 펌프가 운전되며, 엔진펌프의 운전은 소화배관내의 압력이 설정 압 력(기동점)이하로 떨어질시와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단전시 2가지 조건을 만족시킴으로 서 엔진의 운전/정지를 제어합니다. ② 필요 전원 엔진펌프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은 공히 단상 220V을 필요로 하며, 축전지의 자동 충전 용 전원 및 예열히타 전원용 필요로 합니다. 또한 엔진펌프와 주 모타펌프, 보조펌프의 회로 구성을 동일함에 구성 할시에는 별도 의 전원 입력은 필요로 하지 않으며 주 모타펌프 및 보조펌프의 동력 입력 전원에서 220V를 인출 회로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③ 수신기와의 연동 이 방식의 설치시 수신기와의 연결 단자는 주 모타 펌프 운전 접점 2단자, 주 모타펌프 운전 확인 램프용 접점 2단자, 엔진펌프 운전 접점 2단자, 엔진펌프 운전 확인 접점 2단 자, 보조펌프 운전 접점 2단자, 보조펌프 운전 확인 램프용 접점 2단자 등 12 단자을 필 요로 합니다. 이 방식에서 필요로하는 접점은 3개의 접점이나 주모타 펌프와 예비 엔진펌프의 운점 접접(시그널)은 동시 신호에 의한 접접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압력탱크의 접점중 하나의 접점을 수신기에서 받아 2개 이상의 무접점 단자로 분기 인출되어야 합니다. 압력 수조 방식에 적용되고 있는 압력챔버의 접점은 주펌프용과 보조펌프용으로 2개의 접점이 부착되어 있으며 검정품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화설비를 하다보면 2개 이상의 접점을 필요로 할시 별도의 압력스위치를 추가하여 3 개의 스위치를 압력탱크에 부착하는 방법은 검정품과 관련 논란이 되고 있으며, 또하나 의 압력챔버를 설치하여 접점을 인출하는 방법 등도 있으나 예비펌프는 주펌프와 동일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여야 합니다.
소방펌프의 설치시 설치하고자한 소방펌프의 유량이 많을시 2대로 유량을 나누어 설치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2대를 설치할시 필요로 하는 유량을 1/2하고 동일 양정의 펌프를 선정하고 있으 며, 2대의 펌프를 동시 혹은 순차 운전시 유량은 합산이 되나 양정은 합산이 되지는 않 습니다. 위에서 언급된 주펌프 및 예비펌프의 운전 접점을 동일 접점에서가 아닌 별도로 구분 된 접점에서 순차 접점에 의한 설정을 할시에 주펌프 및 예비펌프가 순차에 의한 동시 운전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때 합산된 일시적 과유량에 의한 배관내의 140%를 초과 하는 체절압력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2.4. 엔진펌프 2대와 보조펌프 설치 주펌프를 엔진펌프로 선정하고 예비펌프 또한 동일한 엔진펌프로의 선정, 보조펌프와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① 엔진펌프 2대와 보조펌프 설치 주로 고가수조와 관련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방법으로서 2.2.항의 엔진펌프 및 보 조펌프 설치시와 동일한 방법으로서 차이점은 엔진펌프 2대를 동일 운전 신호에 의하 여 한대의 운전시 다른 한대는 운전 대기를 하고 이미 운전 중인 엔진펌프의 이상 운전 등에 의한 정지에 대비하는예비펌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주 엔진펌프가 운전을 시도하여 운전이 되지 않을시 예비 엔진펌프가 운전을 시도하 며, 주 엔진펌프와 예비 엔진펌프가 교대 운전을 시도합니다. 먼저 운전되는 엔진펌프는 다른 엔진펌프를 대기로 전환시키며 주 엔진펌프와 예비 엔 진펌프의 교대 운전 시도 횟수는 축전지의 기동 전류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② 필요 전원 엔진펌프 및 보조펌프 설치시와 동일합니다. ③ 수신기와의 연동 주 엔진펌프와 예비 엔진펌프의 운전 접점은 동일 신호를 받아 운전하는 방법으로서 운 전 접점 2단자를 필요로 하나 운전표시 램프는 주 엔진펌프와 예비 엔진펌프의 운전 확 인을 분리 점등 시킬 수도 있으므로 4단자와 보조펌프의 운전 2단자 확인 2단자로 구분 10단자를 필요로 합니다.
|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영상 카메라 '화재 예측까지' (0) | 2010.08.28 |
---|---|
2010대구 소방엑스포 (0) | 2010.08.28 |
<집중조명> “다중이용업소 화재보험 의무화 필요성 커” (0) | 2010.08.13 |
소방방재청, 소방시설 개선사항 놓고 법률 핑계 2년째 (0) | 2010.08.13 |
소방청, 복지부 Heli-EMS 도입 계획에 ‘발끈’ (0) | 201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