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안전 115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주관하는 국책연구기관, 안전진단 적발사항 210건(최근 5년간)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주관하는 국책연구기관, 안전진단 적발사항 210건(최근 5년간) 입력시간 | 2017.10.03 10:33 |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인공 태양으로도 불리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국책연구기관인 국가핵융합연구소 연구실험실에 대한 안전불감증이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2010년과 2013년 4월, 8월 세 차례 안전사고가 발생한 이후 안전진단 결과 지속적으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송희경 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이 국가핵융합연구소로부터 제출받은 ‘안전진단 실시결과 적발사항’을 분석한 결과, 2012년 88건, 2013년 27건, 2014년 26건, 2015년 37건, 2016년 32건으로 최..

연구실안전 2017.10.04

연구실 안전사고 매년 증가, 정부 점검률은 8%대 그쳐

연구실 안전사고 매년 증가, 정부 점검률은 8%대 그쳐 작년 연구실 사고발생 270건, 올 상반기에만 142건 대부분 대학 내 사고 발생해, 대학생들 안전 위협받고 있어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연구실 안전사고가 해마다 증가하는데, 정부의 현장점검률은 8% 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0년 호서대 실험실에서 가스사고로 교수 1명이 숨진 이후 지난 4월 같은 대학의 한 입주기업 실험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3층 건물 전체를 태웠다. 작년 6월에는 부산대에서 폭발 사고가 일어나 2명이 상반신에 화상을 입었다. 지난 6월 상지대에서는 폐산 정리과정에서 폐액통이 폭발해 5명이 부상을 당했고, 대학 실험실 중대사고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6번이나 발생했다. 작년 기준 연구실 현황을 보면 대학이 359곳, 국공..

연구실안전 2017.10.02

충남대 Engineering Fair’ 개최지역 중고생 초청해 학습 성과 공유, 취업활동 지원 등 다채롭게 진행

평범한 대학축제는 가라! ‘충남대 Engineering Fair’ 개최지역 중고생 초청해 학습 성과 공유, 취업활동 지원 등 다채롭게 진행 강신정 기자 | webmaster@edujin.co.kr ▲ 충남대, 'Engineering Fair' 개최 [사진 제공=충남대] 충남대 공과대학은 48대 학생회와 함께 9월 21일(목) 오전 10시부터 취봉홀과 1~5공관 등지에서 대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의 중.고등학생 참여 등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CNU Engineering Fair’를 개최했다. 올해로 8년차를 맞는 ‘CNU Engineering Fair’는 충남대 공과대학 학생들이 참여하는 축제로 단순한 축제에서 벗어나 공학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의 연구 및 학습성과를 공유하고, 산학협력 및 취업활동 지원, ..

연구실안전 2017.09.26

안전문제의 새로운 트렌드(trend-setters) - 인화성물질의 안전한 보관

안전문제의 새로운 트렌드(trend-setters) - 인화성물질의 안전한 보관 안전문제의 새로운 트렌드(trend-setters) - 인화성물질의 안전한 보관 지금부터 ‘시약의 안전한 보관’ 그리고 ‘위험한 물질들의 관리’라는 주제로 연구원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려고 한다. 아세코스는 안전캐비닛을 제조하는 회사이며 200개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안전캐비닛을 생산한다. 인화성 물질캐비닛, 가스 실린더 캐비닛, 산.염기성 안전캐비닛 등 여러 환경에 특화된 다양한 제품이 있다. 가장 위험한 인화성 물질에 관한 내용과 인화성 물질 안전캐비닛에 관한 설명이다. 화재가 발생한다면, 인화성 물질은 다른 물질에 쉽게 영향을 미친다. 이런 물질을 대량으로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해결방법이 있다. 건물..

연구실안전 2017.09.08

크로마토그래피 : 효율적인 분석을 위한 LC 소모품

크로마토그래피 : 효율적인 분석을 위한 LC 소모품 (Efficiency of Agilent LC column & supplies) 크로마토그래피 : 효율적인 분석을 위한 LC 소모품 (Efficiency of Agilent LC column & supplies) 실제 실험을 진행하는 실험자들은 “효율”에 대해 한번쯤은 떠올려볼 것이다. 이에 연구원들은 자원의 활용, 생산성 극대화, 비용 절감 부분에서 “효율”적인 방법개발 및 실험을 진행한다. 또한 최근 분석시장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 개발 쪽으로 가고 있는 추세이다. 실험실 연구원들의 효율을 높여줄 소모품으로서 5가지의 Agilent Solution 을 통해 효율적인 LC 분석을 진행해볼 수 있다. 첫번째, 전처리에서 EMR이다. 대부분의 시..

연구실안전 2017.09.08

`안전한 실험실

[시론] `안전한 실험실`이 혁신 첫걸음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 입력: 2017-07-27 18:00 [2017년 07월 28일자 23면 기사]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가치를 지닌 사람들의 공통된 관심사는 '건강한 생활의 영위'라는 것에 대부분 동의할 것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안전'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과거 먹고살기 힘들었던 시절에는 '안전'이라는 부분은 소홀히 여겨지기도 했지만 이제는 경제성장 자체보다는 그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안전의식이 그 사회와 국가를 판단하는 새로운 가치로 인정받고 있다. 외국생활을 해보거나 해외여행을 가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독 아끼는 것이 몇 가지 있다. ..

연구실안전 2017.08.01

실험실 안전사고 89%가 대학서

‘펑’ 대학 연구실 폭발사고에도 “그냥 실수” 넘어가니… 실험실 안전사고 89%가 대학서 “실험복 불편해” 안전교육도 엉망 8일 토요일,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실험 중 화학물질 ‘브로민’이 누출돼 대피 소동이 벌어졌다. 신체에 닿으면 염증을 일으키는 독성 물질이라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서울대 관계자는 “학생 실수로 소량 흘린 정도”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22, 26일에는 각각 서울대 의대와 원주 상지대 실험실에서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했고, 지난달 1일에는 고려대 공대에서 유독가스가 누출돼 100여명이 대피했다. 18일엔 부산 경성대 약대에서 실험 도중 불이 났다. 크고 작은 대학 실험실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최근 사례는 그나마 피해가 적지만 범위를 넓히면 폭발이나 대형 화재, 심지어..

연구실안전 2017.07.19

[미래직업] 연구실안전전문가

[미래직업] 연구실안전전문가연구실과 연구원의 안전을 지키는 파수꾼 연구실안전전문가는 연구실 특성에 맞는 안전점검 및 정밀 안전진단을 수행하거나 연구실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을 지도하고 조언한다. 사례 #1. S대학 의생명과학관, 2013년 6월 27일 16:30분경 옥외 베란다에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던 질산 폐액용기를 처리하기 위해 옮기는 과정에서 폐액 용기의 부식과 취급부주의 등으로 폐액용기가 파손되고 누출되어 한 명이 하지부 3도 화상을 입고 다른 한 명이 오른쪽 무릎부위에 2도 화상을입 었다. 사례 #2. K연구원 고분자나노융합실험실, 2013년 7월 10일 10:30분경 연구실에서 증류법을 이용한 톨루엔 정제 과정 중 용기 내부 압력 증가로 증류기에 꽂혀 있던 마개가 터져 톨루엔 용액과 증기가..

연구실안전 2017.06.29

대학교 연구실 화재 예방 대책 회의

대학교 연구실 화재 예방 대책 회의 개최위험물질을 저장,취급하는 실험실의 대책 마련 (사진제공:부산소방안전본부) 부산시 소재 대학 29개소와 5개 연구기관 안전환경관리자, 부산시교육청, 낙동강 유영환경청 등 유관기관 관계자 30여명이 모여 연구실의 화재·폭발사고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을 논의 [부산=글로벌뉴스통신] 부산소방안전본부(본부장 김성곤)는 28일(수) 15시 소방본부 별관 3층 소방안전교육장에서 부산대학 등 부산시 소재 대학 29개소와 5개 연구기관 안전환경관리자와 부산시교육청, 낙동강 유영환경청 등 유관기관 관계자 30여명이 모여 대학과 연구기관에 설치된 연구실의 화재·폭발사고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을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부산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부산시 소재 대학교 연구실에서 12건..

연구실안전 2017.06.29

실험실 안전환경 관리대책을 논의하다

실험실 안전환경 관리대책을 논의하다 전국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 협의회 세미나 개최 안전관리 취약 대상 매뉴얼 개발 및 보급 필요 실험실 안전환경 대책 논의를 위한 '제8회 전국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 협의회 세미나'가 6월14일부터 3일간 제주에서 열리고 있다. [제주오리엔탈호텔=환경일보] 김은교 기자 = 정부·대학·연구소 등 유관단체와의 실험실 안전환경 관리대책을 논의하는 전문관리자 간 공유의 자리가 마련됐다. 이 행사는 전국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협의회와 교육시설재난공제회가 공동주최한 ‘제8회 전국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 협의회 정기 세미나’로 전국 110여개의 대학 안전환경관리자 및 관련기관 등 관련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6월14일부터 16일까지 제주오리엔탈호텔에서 개최됐다. 전국 연구실안전환경관리..

연구실안전 2017.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