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관리 879

피난기구

제1절 피난기구 가. 개 요 피난기구란 건축물의 화재발생을 예상하여 대피가 용이하도록 건축물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건축물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피난기구의 설치가 요구된다. 특히 피난기구는 그 특성상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기 쉽도록 제조되어야 하고, 조작상 이상이 없어야 한다. 나. 피난기구의 종류 화재발생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기구에는 구조대, 피난사다리, 완강기, 미끄럼대, 피난용 로프, 미끄럼봉, 피난교 등이 있다. 건축물에 설치할 경우에는 건축물에 적합한 피난기구를 선정하여 사용에 편리한 위치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 구조대 가) 구조대의 정의 구조대는 건축물의 3층 이상부터 설치하는 피난기구로서 비상시 발코니, 건축물의 창과 같이 개방할 ..

소방 2010.05.17

소화활동설비

제1절 연결살수설비 가. 개 요 연결살수설비는 판매시설 및 지하가 또는 건축물 지하층의 연면적이 150㎡이상인 곳에 설치하는 본격 소화를 위한 소화활동 설비이다. 지하가, 건축물의 지하층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소생성물인 연기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아 소화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초기소화용으로 설치된 옥내소화전설비만으로는 화재의 소화가 어려워 건축물의 1층벽에 설치된 연결살수설비용의 송수구로 수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살수설비가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와 다른 점은 외부의 소방차 등으로부터 수원을 공급받아 화재를 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는 점과 송수구역마다 선택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선택밸브를 개폐하여 물이 뿌려지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 연결살수설비의 구성 연결살수설비는 ..

소방 2010.05.17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제1절 청정소화약제 설비 가. 개 요 지구오존층 보존을 위해 1987년 9월 18일 조인되어 1989 9월 16일부터 발효된 몬트리얼(Montreal) 의정서에 따라 할론 1211 및 할론 1301 소화약제가 사용에 제한을 받게되었다. 이에 선진국은 1994년 1월 1일부터 생산 및 사용이 중지되었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개발도상국은 2010년 1월1일 이후부터는 생산 및 사용을 중지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 우리나라에서는 “청정소화약제의 종류 및 소화설비의 기술기준”를 94년 6월 18일 최초 제정 그동안 수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는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7A)를 제정하여 그 설치 기준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나. 청정소화약제의 종류 소화설비에 적용되는 청정소화약제는 다음 표에서 정하..

소방 2010.05.17

이산화탄소화설비

제1절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불연성가스인 탄산가스는 화재의 소화뿐만 아니라 화재시 인화폭발의 예방에도 적당한 것으로서 연소의 3요소 중 하나인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는 질식효과는 물론, 냉각에 의한 소화효과도 있다. 보통 대기 중에는 산소가 21%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약15~16%이하로 감소시키면 연소가 계속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소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소화약제로서의 탄산가스는 오손, 부식, 손상의 우려가 없고 소화 후에도 전혀 흔적이 남지 않으며 기체이기 때문에 어떠한 장소에도 침투 확산되어 소화가 가능하며, 비전도성의 불연성 가스로서 전류가 통하고 있는 장소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자체의 압력으로 배관을 통하여 어느 곳이든 방출할 수 있어 니트로셀룰로스나 활성금속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가연성물질..

소방 2010.05.17

물분무 및 포소화설비

제1절 물분무 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는 스프링클러소화설비와 유사하나 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압보다 고압으로 방사하여 물의 입자를 미세하게 분무시켜 물방울의 표면적을 넓게함으로서 유류화재, 전기화재 등에도 적응성이 뛰어나도록 한 소화설비이다. 이 설비는 1820년 페이구루이(영)에 의해서 개발된 후 1933년경에 미국에서 실용화 되었다. 물분무는 Spray, Fog, Mist, Vapor등으로 불려지며 특별하게 고안된 헤드로 분무상의 미립자를 만들어 방사한다. 물분무소화설비의 소화효과는 방사되는 물에 의한 냉각작용,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산소의 차단효과(질식작용), 유류화재시 가연물질의 표면에 엷은 층의 수막을 형성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유화효과 및 알콜, 에테르 등의 수용성 가연물질의 ..

소방 2010.05.17

스프링클러설비

제1절 스프링클러설비 가. 개 요 스프링클러설비는 1723년 영국의 화학자인 A. Godfrey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이 설비는 단순히 물통과 도화선으로 구성되어 화재시 화염이 도화선에 점화, 화약이 폭발하여 물통의 물이 방출되는 간이설비였다. 그후 1874년 미국에서 오늘날과 같은 자동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스프링클러설비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방식과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방식으로 대별되는데 폐쇄형방식은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등이 있으며 개방형방식은 대량의 물을 일시에 살수하여야 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설비로서 일제살수식(Deluge system)이라고 한다. 나. 구조원리 1) 습식 스프링클러설비(Wet Pipe System) 가압송수장치는 자동기동방식(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소방 2010.05.17

옥내외소화전설비

 제1절 옥내소화전설비 가. 종 류 (1) 가압송수방식에 따른 분류 옥내소화전의 노즐에서의 법정방수압력인 1.7㎏/㎠ 이상 7㎏/㎠ 이하를 확보하기 위한 가압송수장치는 다음과 같이 고가수조방식, 압력수조방식, 펌프방식의 3가지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에 맞도록 양정을 계산하여 이에 적합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가) 고가수조방식 옥상등 최상층부의 소화전함보다 높은 위치에 수조를 설치하고 고가수조의 바닥면에서부터 최상층부분의 방수구까지의 높이를 낙차로 환산하여 필요한 법정방수압력을 확보하는 낙차이용 송수방식으로 옥내소화전설비뿐만 아니라 물을 사용하는 모든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나) 압력수조방식 압력수조를 수원 및 가압원으로 하며, 압력탱크의 2/3는 급수펌프에 의하여 상시 물이 공급되고 수조내..

소방 2010.05.17

경보셜비

 제1절 자동화재탐지설비 1. 개 요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발생을 조기에 경보하고 화재위치를 통보하는 기능을 하는 설비로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화재발생신호를 발신하는 감지기, 사람이 수동으로 화재발생신호를 보낼 수 있는 발신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위치를 표시하고 경보장치 등에 작동신호를 발신하는 수신기, 화재가 발생했음을 경보해 주는 음향장치 및 시각경보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흐름도 가. 작동원리 자동화재탐지설비는 신호전송방식에 따라 공통신호방식인 P형과 고유신호방식인 R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P형 시스템은 각 경계구역마다 수신기와 감지기 및 발신기간에 다음의 그림처럼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회로의 종단에 저항이 설치되어 있어 적은 전류만 흐르는 상..

소방 2010.05.17

예방대책

반도체공장의 Clean Room의 방재 특성과 가스감지기술 창고 화재예방에 대하여 다중 이용업의 소방예방대책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 석유류의 저장 취급시의 폭발 방지대책 분진폭발의 요인과 제거방안 비화재보의 실태와 대책 백화점에서의 방화관리 전기화재 원인과 대책 컴퓨터실의 소방대책 Cable 방화대책 대연각호텔 화재 분석 반도체공장의 Clean Room의 방재 특성과 가스감지기술 1. Clean Room의 의의 - 보통 청정실, 무진실 등으로 부르며 불순물을 극도로 제거하여야 하는 전자공업, 의약품공업, 연구 소등에서 필요한 설비로 온도, 습도, 압력이 정밀하게 통제되는 곳이며, Wafer의 표면에 홈을 내 주는 Etching(식각)공정 등이 이 곳에서 실시된다. 미국의 연방규격 2090호는 Clean R..

자료실 2010.05.17

소방전기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Projected Beam Detector)의 원리 및 구조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내화배선, 내열배선의 공사방법 무선통신보조설비 방폭지역구분 불꽃감지기에 대하여 방폭형 전기기기 표시기호 비상경보설비 비상콘센트 설비 위험장소의 구분 유도동 3선식 배선 자외선 화재감지 System(Ultraviolet Fire Detection System) 전기기기방폭의 기본원리 정온식 감지선형감지기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Projected Beam Detector)의 원리 및 구조 1. 작동원리 - 종래의 광전식 SPOT형 감지기는 주로 감지기를 설치한 장소주변의 국소적인 연기에 대하여 감지하는 것이나, 광전식분리형감지기는 광범위한 연기의 누적에 의한 광전소자의 수광량변화(수광량감소)에 의해 작동한다..

자료실 2010.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