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안전관리 180

소방시설공사업법 위반사항 처벌 완화

소방방재청, 소방시설공사업법일부개정법률안 등 입법예고 김영도 기자 소방시설공사업법 위반사항에 대해 일률적으로 과태료와 행정처분을 중복 적용해오던 것을 경중에 따라 차등 적용하는 등 관련법의 부분완화 및 개선조치가 이뤄질 전망이다. 소방방재청(청장 박연수)은 지난 20일 소방시설공사업법일부개정법률안과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공공기관의 방화관리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을 동시 입법예고 했다. 이번에 입법예고된 소방시설공사업법일부개정법률안은 과거 소방시설공사업법 위반사항에 따라 일률적으로 집행해왔던 과태료와 행정처분을 중복 적용해오던 것을 경중에 따라 차등적용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주된 내용으로는 소방검사 감리원의 비리방지를 위해 소방시설공사에 있어..

소방 2010.05.27

방화관리 교육 복수화 안전협회 '긴장'

한국소방안전협회 수입감소 불가피 예상 … 국고지원 건의 최영 기자 정부차원의 방화관리자 교육 개방 추진 방침에 따라 한국소방안전협회의 수익감소가 불가피해지면서 결손액 보충을 위한 국고지원을 소방방재청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9월 29일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는 진입규제 개선과제 중 방화관리자 교육기관을 개방하는 것으로 결정내린 바 있다. 방화관리자 교육을 한국소방안전협회에서 단독으로 수행하고 있어 민간기관의 진입차단으로 인한 특화된 안전교육기관의 출현을 제한하고 있다는 해석에 따른 조치이다. 이에 따라 한국소방안전협회 내부에서는 수입감소에 따른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 2006년부터 2008년까지의 한국소방안전협회의 3년 간 평균 교육인원은 17만 8천여명으로 교육수수료는 실무교육 70억원,..

게시판 2010.05.27

전선가닥수 구하기

우선 전선가닥수 구하기 문제를 크게 나누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자동화재탐지설비(발신기,수신기,감지기로 구성된 도면) 2. 옥내외 소화전 설비(옥외소화전 설비는 거의 출제가 안됨) 3. 스프링클러소화설비 4. CO2 및 할론 소화설비(가스계소화설비) 5. 제연설비 6. 자동방화문설비 7. 제연창설비 8. 방화셔터설비 이중 1번.. 자탐설비의 소방전기배선은 기본이 7가닥임을 확실히 인지하는데서 출발합니다. 기본적으로.. ① 회로선 ② 회로공통선 ③ 경종선 ④ 경종표시등공통선 ⑤ 응답선 ⑥ 전화선 ⑦ 표시등선 ..으로 구성된.. 그리고 문제의 조건 및 상황에 따라 각 선의 수에 변동이 생기는데... 여기서 ⑤ 응답선 ⑥ 전화선 ⑦ 표시등선.. 이 세가지는 무조건 1가닥씩이라 생각하면 됩니다.(일단 편해..

게시판 2010.05.18

소방기술자료집1집

제1장 소방시설 소방시설의 기본설계 지침 FIRE PUMP의 운전실무 소방펌프 소방펌프의 시스템 구성 수격방지기의 원리 및 효과 배관의 설계부터 시공까지 소화설비에 사용하는 밸브 선정요령(I,II) 소화설비의 동파, 동결 방지를 위한 조치 소화설비 배관공사의 문제점 소방용 설비 등 한냉지 대책 방재용 제어시설의 문제점과 대책 소방용 설비의 비상전원 소방시설 설치시 필요한 계산식 최근의 방재설비 개발동향 제2장 소화설비 스프링클러의 역사 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 대한 고찰 NFPA의 주거용 스프링클러설비의 기준에 관한 고찰 속동형 스프링클러의 개발현황 소방시설 점검에 대한 고찰 스프링클러설비 계획의 사전검토에 대한 조언 스프링클러설비 공사의 신공법 스프링클러설비의 효과적인 유지관리 및 개선방안 스프링클러..

자료실 2010.05.17

소방기술자료집4집

제1장 소방시설 1. 소화펌프의 진동과 자동 기동장치에 관한 소고 2. 건식 스프링크러설비의 작동에 관한 고찰 3. 스프링크러시스템의 가지방식과 격자방식의 관한 비교 연구 4. 소방배관 설계에서 LOOP GRID 배관시스템에 대한 해석 5. 가스계 소화설비의 설계 문제점에 관한 소고 6.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관한 기술적 고찰 7. 산업시설의 화재에 적용한 물분무 소화게 관한 기술적 고찰 8. 무동력 전자동 소방급수장치의 시스템 개발 9. 석유화학 플랜트의 소화수 적용 및 공급설계 10. 옥외탱크 저장시설의 소방설비 고찰 11. 표면하 포주입식 유류탱크 포소화설비 설계지침 12. 초고층 업무시설의 소화설비 응용 13. 최근 종합방재 시스템의 동향과 화재경보 감지설비의 설계 14. INTELLICENT M..

자료실 2010.05.17

국제관련 사이트

학.협회 캐나다 표준협회 - www.scc.ca 프랑스 표준협회 - www.afnor.fr 영국 표준협회 - www.bsi-global.com/redirect.html 일본위험물보안기술협회 - www.khk-syoubou.or.jp 일본 소방검정협회 - www.jfeii.or.jp 기관 및 단체 BRANZ(Building Research Association of New Zealand) - www.branz.org.nz SP - www.sp.se UL - www.ul.com BFRL(Building Fire Research Laboratory) - www.bfrl.nist.gov VTT - www.vtt.fi Maryland University - www.umd.edu NFSA(National Fire ..

게시판 2010.05.17

소화활동설비

제1절 연결살수설비 가. 개 요 연결살수설비는 판매시설 및 지하가 또는 건축물 지하층의 연면적이 150㎡이상인 곳에 설치하는 본격 소화를 위한 소화활동 설비이다. 지하가, 건축물의 지하층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소생성물인 연기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아 소화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초기소화용으로 설치된 옥내소화전설비만으로는 화재의 소화가 어려워 건축물의 1층벽에 설치된 연결살수설비용의 송수구로 수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살수설비가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와 다른 점은 외부의 소방차 등으로부터 수원을 공급받아 화재를 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는 점과 송수구역마다 선택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선택밸브를 개폐하여 물이 뿌려지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 연결살수설비의 구성 연결살수설비는 ..

소방 2010.05.17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제1절 청정소화약제 설비 가. 개 요 지구오존층 보존을 위해 1987년 9월 18일 조인되어 1989 9월 16일부터 발효된 몬트리얼(Montreal) 의정서에 따라 할론 1211 및 할론 1301 소화약제가 사용에 제한을 받게되었다. 이에 선진국은 1994년 1월 1일부터 생산 및 사용이 중지되었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개발도상국은 2010년 1월1일 이후부터는 생산 및 사용을 중지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 우리나라에서는 “청정소화약제의 종류 및 소화설비의 기술기준”를 94년 6월 18일 최초 제정 그동안 수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는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7A)를 제정하여 그 설치 기준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나. 청정소화약제의 종류 소화설비에 적용되는 청정소화약제는 다음 표에서 정하..

소방 2010.05.17

물분무 및 포소화설비

제1절 물분무 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는 스프링클러소화설비와 유사하나 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압보다 고압으로 방사하여 물의 입자를 미세하게 분무시켜 물방울의 표면적을 넓게함으로서 유류화재, 전기화재 등에도 적응성이 뛰어나도록 한 소화설비이다. 이 설비는 1820년 페이구루이(영)에 의해서 개발된 후 1933년경에 미국에서 실용화 되었다. 물분무는 Spray, Fog, Mist, Vapor등으로 불려지며 특별하게 고안된 헤드로 분무상의 미립자를 만들어 방사한다. 물분무소화설비의 소화효과는 방사되는 물에 의한 냉각작용,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산소의 차단효과(질식작용), 유류화재시 가연물질의 표면에 엷은 층의 수막을 형성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유화효과 및 알콜, 에테르 등의 수용성 가연물질의 ..

소방 2010.05.17

스프링클러설비

제1절 스프링클러설비 가. 개 요 스프링클러설비는 1723년 영국의 화학자인 A. Godfrey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이 설비는 단순히 물통과 도화선으로 구성되어 화재시 화염이 도화선에 점화, 화약이 폭발하여 물통의 물이 방출되는 간이설비였다. 그후 1874년 미국에서 오늘날과 같은 자동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스프링클러설비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방식과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방식으로 대별되는데 폐쇄형방식은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등이 있으며 개방형방식은 대량의 물을 일시에 살수하여야 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설비로서 일제살수식(Deluge system)이라고 한다. 나. 구조원리 1) 습식 스프링클러설비(Wet Pipe System) 가압송수장치는 자동기동방식(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소방 2010.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