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화재위험평가를 통해 위험도를 산정하고 산정된 위험도를 근거로 화재로 인한 화재 발생 빈도와 연간 잠재위험손실금액까지 산출해봤다. 위험도가 높은 사업장의 경우 위험을 낮추기 위한 투자가 필요할 것이며 취약요소를 개선함으로써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이런 개선항목 중 투자 효용성이 가장 높은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게 비용편익분석을 통한 비용편익률 도출이다. 비용편익분석의 기본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게임의 예를 들겠다. 첫 번째는 동전을 100번 던져 앞면이 나오면 1천원을 얻고 뒷면이 나오면 2천원을 잃는 게임을 할 경우 기대이익은 1천/2+(-2천/2)=-500원이다. 100번을 던진다면 5만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셈이다. 두 번째는 첫 번째 게임에서 4만원을 투자할 경우 뒷면이 나올..